[기고] 할머니 한풀이 일본의 진정성에 달려 있다

2016. 1. 17. 21: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이 과연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진심으로 사과할 생각이 있는가.

과거 24년 동안 숙원이었던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지난달 28일 한·일 합의문을 발표했지만 한 달도 되지 않아 일본의 속내를 드러낸 발언이 나왔다.

이에 대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일본 정부와 여당 관계자는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한·일 합의에 입각해 발언하기 바란다"며 입조심을 당부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이 과연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진심으로 사과할 생각이 있는가. 과거 24년 동안 숙원이었던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지난달 28일 한·일 합의문을 발표했지만 한 달도 되지 않아 일본의 속내를 드러낸 발언이 나왔다.

일본 집권 자민당의 6선 중진의원이 “위안부는 직업 매춘부였다”라고 주장한 것이다. 자민당 중의원인 사쿠라다 요시타카 의원은 14일 같은 당 의원 10명과 관계 부처 관료가 모인 자리에서 “위안부가 희생자인 양하는 선전 공작에 지나치게 현혹됐다”며 “전후 일본에서 매춘방지법이 생기기 전까지 매춘은 직업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위안부가 매춘부였다는 얘기를 피하고 있어 잘못된 얘기가 일본과 한국에 퍼지고 있는 것 아니냐”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일본 정부와 여당 관계자는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한·일 합의에 입각해 발언하기 바란다”며 입조심을 당부했다.

강승규 고려대 교수·코리아정책연구원장
사쿠라다 의원도 이날 오후 “폐를 끼친 관계자 여러분에게 사죄하고 싶다”며 발언을 철회하는 뜻을 밝히긴 했지만 이미 파장은 커지고 있다. 일본 우익의 망언·망동은 이어지고 있다. 아베 총리의 측근인 이나다 도모미 자민당 정조회장도 6일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일본군위안부 소녀상에 대해 “역사 조작의 상징”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가 위안부 할머니의 숫자가 점점 줄어가는 등 깊은 고심 끝에 지난달 일본 정부와 극적인 타협을 봤다.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군 관여를 인정하고, 일본 정부가 책임을 통감하며, 일본 정부 예산으로 피해자 상처 치유에 나서기로 합의했지만 일부에서는 일본 총리의 직접적인 사과가 없고 배상금 대신 재단 설립을 위한 보상금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으로 갈등을 빚고 있다.

이런 어려운 와중에 자민당 중진의원이 위안부는 직업여성이라는 주장을 당내 회의에서 거침없이 발언했다는 것은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 과거 노태우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해 일왕에게 일본군위안부 진상규명을 요구했을 때 1990년 일본 국회에서 일본 정부가 “군 개입이 아니다. 민간업자가 한 일”이라고 답변했다. 이렇게 책임회피를 한 지 27년이 흘렀지만 아직까지 위안부는 ‘본인들이 선택한 직업’이라는 생각을 일본의 지도층이 갖고 있는 것이다.

일본군위안부에 끌려갔던 소녀들의 평균 나이는 16세밖에 안 된다. 1940년대 16세라면 지금의 신체나이로는 12세 정도이다. 11세에 끌려간 경우도 있다. 성숙하지 못한 어린 처녀들이 신체 파열과 같은 병으로 속수무책 사라져갔다. 가녀린 십대들이 직업여성, 매춘부였을까. 종로구 일본 대사관 앞에 세워진 소녀상이 그 답을 말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 소녀상이 꽤나 거슬리는 모양이다. 소녀상의 이전 등도 거론됐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위안부는 직업여성이라는 오만한 생각을 거두기 전에는 우리 국민은 소녀상의 손끝 하나 건드리는 것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한·일 합의문을 발표하고도 일본이 과거처럼 ‘(일본)사과→망언→합의 무력화’의 전철을 밟으려는 의도가 있는 것인지 의심되고 있다. 평균 연령이 89세에 달하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한을 풀기 위해서는 일본의 진정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강승규 고려대 교수·코리아정책연구원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