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횡령·배임죄, 고위직일수록 범죄액 클수록 선처 경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횡령·배임범죄를 저지른 피고인이 고위직이거나 범죄 금액이 많을수록 약하게 처벌되고 있다는 내용의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17일 대검찰청이 지난해 영남대학교에 의뢰해 받은 '횡령·배임범죄에 관한 양형 기준의 적용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에 따르면 횡령·배임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대표이사 등 기업 최고위직 중 72.6%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횡령·배임 범죄 액수가 높을수록 집행유예 선고 비율도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횡령·배임범죄를 저지른 피고인이 고위직이거나 범죄 금액이 많을수록 약하게 처벌되고 있다는 내용의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17일 대검찰청이 지난해 영남대학교에 의뢰해 받은 ‘횡령·배임범죄에 관한 양형 기준의 적용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에 따르면 횡령·배임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대표이사 등 기업 최고위직 중 72.6%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실형 선고 비율은 27.4%였다. 2009~2013년 사이 횡령·배임 유죄 1심 판결 1994건을 분석한 결과다. 임원 등 일반 고위직에서 집행유예를 받은 비율은 67.8%였다. 중간직은 62.6%, 하위직은 52.0%로 비율이 점점 내려갔다. 보고서는 “최고위직의 경우 다른 직위에 비해 집행유예 비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횡령·배임 범죄 액수가 높을수록 집행유예 선고 비율도 높았다. 선고형량 36개월 이하 사건 중 범죄액수 300억원 이상 사건의 피고인 11명은 모두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이득액 1억원 미만 피고인은 64%만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피고인의 집행유예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피해자와 합의했는지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는다고 한 경우 집행유예 비율은 97.4%였다. 피해액이 상당 부분 회복된 경우 97.1%에 달했다.
한 법원 관계자는 “개별 사건의 쟁점, 죄질에 따라 형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고위직이라는 이유로 선처 하는 것으로 해석하긴 어렵다”며 “기업 회생을 위해 계열사를 지원하다 배임을 저지른 경우 피해액이 회복되면 선처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들 시신 냉장고 넣은 父 "일부 변기에 버려" 경악
- [친절한 쿡기자] "연예인 직업 세습, 이젠 지겨워" 아이들 팔아먹는 예능 '그만'
- 위안부 소녀상을 모독한 일본 디자이너 '참담' [극혐뉴스]
- [영상]생방송 도중 권총 위협에도 꿋꿋.."저 여기자, 대단하네"
- "쯔위 사과 영상이 뭐길래?" 대만 첫 여성총통 당선 후 언급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
- “태아 살리는 일은 모두의 몫, 생명 존중 문화부터”
- ‘2024 설 가정예배’ 키워드는 ‘믿음의 가정과 감사’
- 내년 의대 정원 2천명 늘린다…27년 만에 이뤄진 증원
- “엄마, 설은 혼자 쇠세요”… 해외여행 100만명 우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