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 "금주 유엔서 대북제재 움직임 있을 것"(종합)

2016. 1. 17. 20: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17일 북한의 4차핵실험에 따른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안과 관련해 "이번 주에는 유엔 등에서 움직임이 보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또 북핵실험 이후 한중 정상간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것과 관련해 "중국이 우리나라와는 체제가 전혀 다르지 않느냐"며 "(통화시 대북제재 등이 거론되면)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불편에 처하게 될 것으로 보이므로 아무도 (통화) 건의를 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안보리 대북제재 전술적으로 시간 끌려 할 것"
(도쿄 AP=연합뉴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가운데),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왼쪽), 안토니 블링큰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1월 15일 도쿄 외무성 청사에서 만나고 있다. 임 제1차관과 블링큰 부장관은 1월 16일 사이키 이키타카 일본 외무성 차관을 만나 최근 북한 핵실험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ciy@yna.co.kr

"중국, 안보리 대북제재 전술적으로 시간 끌려 할 것"

(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 한국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17일 북한의 4차핵실험에 따른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안과 관련해 "이번 주에는 유엔 등에서 움직임이 보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날 일본 도쿄에서 주일 한국특파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아직 안보리 결의안 초안은 돌아다니지 않는 것으로 안다. 다만, 초안 윤곽은 돌아다닐 것이고, 중국도 그 윤곽을 세밀히 검토하고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유엔의 대북 제재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관련해 "중국은 전술적으로도 좀더 시간을 끌려고 할 것"이라며 "중국과 러시아가 있어서 제재안이 100% 만족할만하게 나올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당국자는 전날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3개국 외교차관회의의 분위기에 대해 "과거 3차례 북핵실험 때와 달리 미국이나 우리나 결기가 달랐다"고 소개했다.

이어 "북한의 3차례 핵실험에 대해 안보리가 제재 결의를 했지만 결과적으로 북한이 핵실험을 한 만큼 북핵실험 방지 차원에서는 실패한 것"이라며 "특히 미국은 올해 대선을 앞두고 있어서 이번에는 북한에 확실한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또 북핵실험 이후 한중 정상간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것과 관련해 "중국이 우리나라와는 체제가 전혀 다르지 않느냐"며 "(통화시 대북제재 등이 거론되면)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불편에 처하게 될 것으로 보이므로 아무도 (통화) 건의를 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통화 문제를 놓고 대중 정책을 비판하는 것은) 단견일 수 있다"며 "액면은 그렇게 보일 수 있어도 밑바탕의 흐름은 다를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지금은 100년전 조선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국제적 위상, 경제적 풍요로움 등 거의 모든 게 달라져 있다"며 "그런데 안보담론 구조만 바뀌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100년 전에는 우리 권부가 친청, 친일, 친러 갖고 싸웠는데 지금도 어떻게 보면 비슷한 담론 구조"라며 "그런데 우리는 왜 친미일이든 친러일이든, 친미중이든 하이브리드적 사고를 하지 않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 당국자는 "싱가포르의 경우 전투기 훈련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하고 있지만, 중국 남부 하급관리 중에 싱가포르 견학을 안한 사람이 없다"며 "싱가포르는 양쪽과 다 잘 지내고 활용하는데, 우리도 그런 사고의 틀을 가져야 하지 않느냐"고 덧붙였다.

한편 전날 회담에서 사이키 아키타카(齊木昭隆)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의 조기 체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으나 우리 측은 현 단계에서는 논의계획이 없다는 기본 입장을 개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choinal@yna.co.kr

☞ 초등생 아들 시신훼손 아버지에 살인죄 적용 가능할까
☞ 서울 마포구 '가방 속 시신' 사건 유력 용의자 숨져
☞ 소변검사하다 명의 빌려주고 병원 열어…벌금형
☞ '쯔위 논란'에 JYP 홈피 다운…"디도스 공격받아"
☞ 우주에서 꽃 피었다…'지구 밖 개화' 첫 성공 개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