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저소득자·주부 경제적 '행복감' 낮다
[경향신문] ㆍ노후준비 부족, 걸림돌 꼽혀
경제적 행복의 가장 큰 걸림돌은 ‘노후준비 부족’이라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50대’, ‘저소득자’, ‘주부’는 다른 집단에 비해 행복감이 떨어졌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지난해 12월 중순 실시한 경제행복지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 80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28.8%는 경제적 행복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노후준비 부족’을 지목했다. 이어 ‘자녀양육·교육’(21.9%), ‘일자리 부족’(20.2%), ‘주택문제’(19.1%) 등 순이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노후준비 부족을 걸림돌로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60세 이상 응답자 중 60.2%, 50대 응답자 중 35.6%가 노후준비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지목했다.
경제적 행복감의 정도를 수치화한 경제행복지수는 50대가 39.4점으로 가장 낮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50대는 직장 은퇴를 겪으며 행복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응답자의 직업, 결혼 유무에 따라서도 행복지수는 달리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직(57.4점)·공무원(53.7점) 등의 행복지수가 높았고, 자영업자(40.2점)·주부(38.8점)는 낮은 편에 속했다. 연 8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63.4점으로 2000만원 미만 소득자(36.3점)에 비해 1.7배 높았다. 10억원 이상 보유한 응답자는 65.3점으로 1억원 미만 소유 응답자(39.2점)보다 1.7배가량 높았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졸업(50.4점), 대학 졸업(46.1점), 고등학교 졸업(38.9점), 중학교 졸업(38.4점) 등의 순이었다. 미혼자는 46.7점으로 기혼자(44.1점)보다 경제적 행복지수가 높았다. 이혼·사별자의 경우 26.8점으로 가장 낮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미혼자는 기혼자보다 경제적 부담이나 책임감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형국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후원회장에 김송희씨···12·3 때 상경하며 “소식 없거든 죽은 줄 알라”
- 비옷 입고 광화문·서초동 모여 “윤 어게인”···무대 오른 국힘 의원 “끝이 아니다”
-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기승전 ‘反이재명’ 넘어 탈바꿈하기를”
- 민주당, 국민참여경선으로 경선규칙 변경…비명계 “누가 유리한지 뻔해” 반발
- [단독] [대선 인사이드] ‘모병제’ 여론조사 돌린 민주당…이재명 공약 포함될까
- 윤석열 전 대통령과 포옹한 ‘과잠’ 대학생···“대통령실 요청받아”
- “나경원, 윤석열 재림인가···‘MB 아바타’ 시즌2 보는 듯”
- 강풍에 주말 제주도 항공편 무더기 결항·지연···14일 9시 이후 경보 해제 전망
-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흘째…멈췄던 실종자 수색 재개될까
- [속보] 미국, 상호관세 부과 대상서 스마트폰·컴퓨터 등도 제외···블룸버그 “삼성도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