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기 추락 사고 걱정 끝..객실 통째로 탈출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항공 기술자들이 여객기 추락 사고로부터 승객 모두를 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등 외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항공 공학자 블라디미르 타타렌코가 주도한 기술팀이 긴급상황 발생시 객실이 통째로 분리되는 여객기 시스템을 설계했다.
이 시스템은 이착륙은 물론 운항 중인 여객기에 이상이 생겨 추락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특별 설계된 객실이 동체와 분리한 뒤 탑재한 특수 낙하산을 펼쳐 훨씬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다는 것.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항공 기술자들이 여객기 추락 사고로부터 승객 모두를 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등 외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항공 공학자 블라디미르 타타렌코가 주도한 기술팀이 긴급상황 발생시 객실이 통째로 분리되는 여객기 시스템을 설계했다.
이 시스템은 이착륙은 물론 운항 중인 여객기에 이상이 생겨 추락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특별 설계된 객실이 동체와 분리한 뒤 탑재한 특수 낙하산을 펼쳐 훨씬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다는 것.
또 객실 하단에 특수 고무 튜브를 둘러 지상은 물론 바다에 착륙할 때에도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지난 3년간 이 시스템 설계를 이끌어온 타타렌코는 “기존에 동체와 날개, 플랩(이착륙 시 양력 증가 장치), 스포일러(하강·선회 능률을 높이기 위해 날개에 다는 가동판), 에일러론(보조 날개), 꼬리 등에 (고강도 경량 소재인) 케블라와 탄소 합성 소재를 사용하는 기술 역시 이 디자인에 쓰일 것”이라면서 “이는 부분적으로 낙하산 시스템 때문에 무거워진 중량을 보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승객들의 수하물은 객실 밑에 마련한 특수 공간에 보관해 비상 탈출에도 손실할 염려가 없다고 한다.
특히 이 시스템은 모의 영상을 통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볼 수 있는데 이를 본 네티즌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일부 네티즌은 이 디자인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일부는 회의적이고 비현실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들의 지적을 살펴보면, 분리된 객실이 산이나 건물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고 조종사들의 탈출 계획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한 네티즌은 “한 해 동안 운항하는 항공편 수백만 대 가운데 추락 사고로 사망하는 사례는 500명 미만”이라면서 “들인 비용에 비해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현재 여객기를 강화하기 위해 동체를 하나로 연결하고 있는 데 이 개념은 기체를 극적으로 약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타타렌코가 직접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5%가 더욱 안전한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면 고가의 항공권을 구매할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
타타렌코가 고안한 이번 시스템은 최초의 디자인이 아니다. 지난해 그는 기내 승객을 구출하기 위한 탈출 캡슐 시스템에 관한 발명 특허를 취득하기도 했다.
이 캡슐은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수초 안에 후방 승강구를 통해 자동으로 방출된다. 이후 두 개의 폭발 기관을 사용해 속도를 느리게 제어한 뒤 낙하산이 펼쳐진다.
하지만 비행기 내부 폭발이나 로켓 공격 같은 것을 받을 시에는 인명을 구할 수는 없다고 타타렌코는 설명했다.
사진=블라디미르 타타렌코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내 삶을 성교육 교재로” 伊 포르노배우 이색 제안☞ 방송중 훌러덩 바다 뛰어든 리포터…벗겨진 비키니☞ 염산테러 피해 印여성, 모델 변신…감동☞ 소변으로 보는 건강 진단법 8가지…주황색은 위험?!☞ 전자담배 피우는 당신, 금연 결심에 도움 될까?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