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연비' 잡겠다던 정부, 뒤죽박죽 데이터로 소비자 혼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안이한 자동차 연비 데이터 관리가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이른바 '뻥연비'를 근절하고 소비자가 체감하는 실제 연비를 표시하도록 하겠다던 정부는 홍보 부족과 뒤죽박죽 된 데이터 관리로 당초 취지를 거스르고 있다.
당시 정부는 "그동안 부처 간 중복조사와 조사결과 불일치 등의 혼선을 빚어 왔던 자동차 연비의 중복규제를 없애고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연비제도의 기틀을 마련하겠다"며 공동고시 안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사진=좌)2015년 12월, 우)2016년 1월, 에너지관리공단 자동차 연비 라벨 표시 |
1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연비 정보를 제공 관리하는 에너지관리공단 수송에너지 홈페이지에는 신규 연비 검증을 적용한 차량과 이전 연비 적용 차량이 같은 방식으로 표시되고 있다. 당초 이들은 서로 다른 연비 표시 방법(라벨)으로 구분돼야 하지만, 모두 동일한 신규 라벨로 표시되고 있는 것.
|
강화된 연비 검증 제도는 차량 길들이기 절차와 주행저항시험방법에 관한 규정이 포함됐다. 또한 휘발유는 고정값 대신 성분분석 후 실제값을 사용토록 계산식을 변경하는 등 한결 깐깐해진 기준을 적용했다.
이밖에도 도심연비와 고속도로연비 모두 신고연비와의 차이가 허용 오차범위 5% 이내에 들어야 적합 판정을 내리는 등 규정을 강화하고 사후 연비 조사 차량을 업체 제공방식에서 직접 구매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리고 지난해 11월,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공동고시 연비가 2014년 11월 이후 출시된 신차(풀체인지)에 우선 적용됐다. 기존차량들은 2년 6개월의 유예를 거쳐 2017년 5월에 적용될 예정이다.
앞서 자동차 제작사와 수입사는 깐깐해진 연비 검증 절차를 걱정하며 연비 하향 신고 추세를 보여 왔으며 실제로 바뀐 기준에 따라 연비를 측정하면 기존 보다 평균 5~10%가량 떨어져는 결과도 나왔다.
하지만 문제는 공동고시 연비와 기존 방식의 연비로 측정된 차량들이 서로 섞이며, 업체와 소비자들이 모두 혼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공동고시와 함께 자동차 연비 표시 라벨이 바뀌었지만 인터넷과 카탈로그에서는 이를 구분없이 쓰고 있다.
|
사진=에너지관리공단은 기존 라벨을 부착해야 하는 차량까지 신 연비 라벨 사용. |
한편 새롭게 도입된 자동차 연비 표시 라벨은 복합 연비와 이산화탄소 배출량만을 크게 표시했던 기존 라벨과 달리 도심 연비와 고속도로 연비도 동일한 글자 크기로 표시한다. 내연기관 차량은 연비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되고 경차 및 친환경 차량은 에너지소비효율 등급 표시 등이 제외됐다.
김훈기 동아닷컴 기자 hoon149@donga.com
[☞ 동아오토 바로가기] |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미니, 3세대 신형 JCW 컨버터블 공개 '231마력, 6.6초'
- [블랙박스 영상]동래구청으로 돌진한 제네시스 "와이라노 와이라노 악"
- [김훈기의 데드라인 영상]현대차, 친환경 전용 '아이오닉' 신차 출시 현장
- 현대차, 친환경 전용 '아이오닉' 출시..국내 최고 연비 22.4km/L 기록
- 벤츠, C 450 AMG 4메틱 출시 '367마력의 강력한 성능'
- 이재명 “국회·대통령 집무실 세종으로…임기 내 건립”
- [송평인 칼럼]대선 경쟁이 팽팽해지기 위한 3가지 조건
- [속보]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 권성동 “이재명, 공수처 강화 공약은 대규모 정치보복 빌드업”
- 헌재 “권한대행이 재판관 지명, 극심한 혼란 생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