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무효 전국행동' 시민재단 만들기로

2016. 1. 14. 19: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383개 단체와 335명 참여
일본에 번복할 수 없는 사죄 요구키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 발족 기자회견’을 마친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14일 낮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세종로 외교부 청사까지 한-일 외교장관의 ‘12·28 합의’ 무효를 주장하며 행진하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여성·법조·역사 등 분야를 망라한 383개 단체와 개인 335명이 14일 오전 서울 세종로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전국행동) 발족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선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재단 설립 계획도 구체적인 윤곽을 드러냈다.

전국행동은 이날 발족식에서 한-일 외교장관 ‘12·28합의’가 피해자들과 지원단체들의 요구를 담지 못한 졸속적인 담합이라는 것을 재확인하고 “일본 정부의 범죄사실 인정과 번복할 수 없는 명확하고 공식적인 사죄 그리고 사죄의 증거로서의 배상과 진상규명과 함께 역사교육과 추모사업 등의 조처를 세계인과 함께 요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가 10억엔을 출연해 한국 정부가 설립하기로 한 재단을 반대하는 취지로 제안된 시민재단 설립 계획도 공식적으로 발표됐다. 재단의 공식 명칭은 ‘일본군 ‘위안부’ 정의와 기억재단’(정의 기억재단)으로 하고, △위안부 피해자 복지·지원 △진상규명·기록보존 △평화의 소녀상 건립 및 추모사업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교육사업 등을 할 계획이다.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수만명이 끌려가 죽었는지 살았는지도 모르는데, 아베 총리가 진정으로 사죄를 하지도 않고 주는 돈을 어디다 쓰겠냐”며 “우리들이 서로가 손을 잡고 재단을 만들어 어느 구석에서 안 죽고 고생을 하고 있는지 모를, 우리들과 같이 고생하는 사람들을 위해 싸워달라”고 말했다.

앞으로 전국행동은 재단 설립과 더불어 12·28 합의 무효를 위한 여론을 만들고, 국회에 무효·재협상 약속을 촉구하는 행동을 벌일 계획이다. 다음달 1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 긴급 대표자회의’도 개최할 계획이다.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는 “우리가 여론을 만든다면 12·28 합의 무효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박 대통령께, 위안부 합의가 자화자찬할 일인가요
표창원 “대북 확성기 효과있다면, 국정원 대선 댓글도 마찬가지”
일본 의원 “위안부는 직업 매춘부였다” 망언
[화보] 노팬츠데이, 지하철 ‘하의실종’
[화보] 백전노장…나이는 숫자에 불과해요~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