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기록문화 보전시스템, 행정한류 선도하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우리의 기록문화 보전시스템이 전자정부, 새마을 운동과 함께 행정한류를 선도하고 문화융성에도 크게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세종시에서 열린 대통령기록관 개관식에 참석, "우리가 가진 세계 최고의 정보통신기술(ICT)을 토대로 기록물의 생산과 관리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시킨 선진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기록관리시스템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우리의 기록문화 보전시스템이 전자정부, 새마을 운동과 함께 행정한류를 선도하고 문화융성에도 크게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세종시에서 열린 대통령기록관 개관식에 참석, “우리가 가진 세계 최고의 정보통신기술(ICT)을 토대로 기록물의 생산과 관리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시킨 선진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기록관리시스템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며 이처럼 밝혔다.
박 대통령은 “각 시대마다 지도자의 철학과 국가운영의 중요한 정책결정을 담고 있는 대통령기록물은 우리 역사의 산실이고 후손에게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한다”며 “이번에 개관한 대통령기록관이 면면히 이어온 우리의 기록문화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보다 안전하게 계승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13건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한 자랑스러운 기록문화의 강국”이라며 “우리 역시 이 시대의 삶과 모습을 기록에 담아 후세대에 전해야할 사명을 갖고 있다”고 했다. 이어 올 9월 국제기록관리협회 총회의 한국 개최 사실을 언급, “이번 총회 개최를 통해 우리 기록문화의 우수성은 물론 선진 기록관리 시스템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도록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테이프커팅 후 전시관에 들러 ‘제헌헌법’ 등 각종 전시자료와 역대 대통령들이 국빈들로부터 받은 선물 등을 둘러봤다. 이날 행사에는 홍윤식 행정자치부장관, 박동훈 국가기록원장, 전직 대통령 기념사업회 대표자 등 110여명이 참석했다
새로 문을 연 대통령기록관은 지난해 11월 경기도 성남시 소재 국가기록원 서울기록관에서 문서 270만건과 시청각자료 235만건 등 대통령기록물을 이관받았다. 2만8000㎡ 부지에 연면적 2만5000㎡의 지상 4층, 지하 2층 건물로 지어진 대통령기록관은 공사 착수 2년 만인 지난해 4월에 완공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기록관은 이번 단독 청사 개관을 계기로 과거 기록물을 단순 관리하는 소극적 역할에서 탈피해 이를 적극적으로 보존·복원하고 국민에게 전시하는 명실상부한 대통령 기록의 전당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준기 (jek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틀린 개수대로 옷 벗어" 이상 야릇한 과외수업.. 그 결말은?
- 화제의 미녀 女 강도, 훔친 보석 자랑하다가 FBI에 덜미 잡혀..
- 꼬리밟힌 로또1등 44명, 당첨금 '930억'은 어쩌나..
- 성당 앞 '알몸 시위' 벌인 여성, 무엇 때문에 길거리에 나왔나?
- 심으뜸, 탄탄 애플힙 비결 하루 스쿼트 1500개 + 필라테스
- 이재명과 양자대결…한덕수 40%, 김문수 38%[한국갤럽]
- "계약 맺을 필요없다" 트럼프 발언 속 뉴욕증시 일제 하락[월스트리트in]
- "이재명은 싫다"는 이대남...전연령중 선호도 '최하'
- 로또 1등 ‘노점상 부부’…당첨 1년 만에 “살려달라” [그해 오늘]
- [단독]LG화학, 비용 절감에 사택도 정리…구조조정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