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설립' 김성수, 친일 맞다"..항소심도 인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아일보> 를 세운 인촌 김성수(1891~1955)가 '친일행위'를 한 사실이 항소심에서도 인정됐다.
서울고법 행정7부(재판장 황병하)는 14일 인촌의 증손자인 김재호 동아일보사 사장 등이 행정안전부(현재 행정자치부) 장관을 상대로 낸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취소 청구소송에서 "1심의 사실 인정이 옳다"며 원고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김재호 사장 등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취소 청구소송
서울고법 “1심 사실 인정 옳다” 원고 항소 모두 기각
<동아일보>를 세운 인촌 김성수(1891~1955)가 ‘친일행위’를 한 사실이 항소심에서도 인정됐다.
서울고법 행정7부(재판장 황병하)는 14일 인촌의 증손자인 김재호 동아일보사 사장 등이 행정안전부(현재 행정자치부) 장관을 상대로 낸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취소 청구소송에서 “1심의 사실 인정이 옳다”며 원고의 항소를 모두 기각한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2009년 6월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위원회)가 김성수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하자 이를 취소해달라며 행정소송을 냈다. 1심 재판부는 “1942~44년 보성전문학교 교장이었던 김성수가 <매일신보>와 <경성일보> 등 전국 일간지에 조선총독부의 태평양전쟁 동원을 위한 징병 및 학병을 찬양하며 선전·선동을 하는 글을 지속적으로 기고한 점 등이 인정된다”며 위원회의 결정이 적법하다고 판결했다. 다만 재판부는 “1941년 인촌이 친일단체 위원으로 선정돼 일본제국주의의 내선융화와 황민화 운동을 적극 주도했다는 부분은 구체적인 자료가 없다”며 “사회·문화 기관이나 단체를 통해 일본제국주의에 협력했다는 진상규명위의 결정은 부당하다”고 판단한 바 있다.
이날 선고는 항소심 재판이 시작된 지 5년여 만이다. 서울고법은 그동안 선고를 차일피일 미뤄왔고, 재판장은 다섯 번이나 바뀌었다. 지난해 2월에도 선고기일이 잡혔다가 법원 인사를 앞두고 갑자기 미뤄진 바 있다. 이에 따라 법원이 언론사 눈치를 보느라 선고를 미루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박 대통령께, 위안부 합의가 자화자찬할 일인가요
■ 표창원 “대북 확성기 효과있다면, 국정원 대선 댓글도 마찬가지”
■ 현대카드 “휴대폰 소지 해고·화장실행 벌점”…알바에 ‘갑질’
■ [화보] 노팬츠데이, 지하철 ‘하의실종’
■ [화보] 백전노장…나이는 숫자에 불과해요~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