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더P] 최경환이 움직인다..친박감별사·교통경찰 역할
새누리당 친박계(친박근혜계) 핵심 중의 핵심인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곧 국회의원으로서 여의도로 복귀할 예정인 가운데 그가 당내에서 어떤 역할을 맡을지 관심이다
총선을 앞두고 친박·비박 간 공천제도를 둘러싼 ‘1차전'이 끝난 상황에서 구체적인 공천작업 과정에서 최 부총리가 어떤 역할을 할지에 따라 향후 당내 상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최 부총리의 당대표 도전이 여의도 정가에서 공공연히 거론되면서 당 대표를 맡은 이후 어떤 일이 벌어질지도 관심사다.
최 부총리는 이미 친박계 인사들과 접촉 폭을 넓히고 있다. 8일 친박 중진인 서청원 최고위원, 정갑윤 국회부의장, 김태환 서상기 안홍준 유기준 정우택 홍문종 의원과 재선의 윤상현 의원을 만났다. 또 10일에는 친박 초선인 김진태 정용기 의원 등을 만난데 이어 이번 주에도 친박계 의원들과 회동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 TK지역 공천 영향력이 우선 과제
새누리당 관계자는 "친박 핵심으로서 중구난방인 공천 작업을 마무리하는 작업을 할 것"이라며 "특히 TK(대구·경북)지역에서 최 부총리의 역할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청와대와 친박계는 다른 어느지역보다 TK에는 친박계 인사를 당선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임기 말에구성될 20대 국회에서 정권이 노동·금융·교육·공공 개혁 등 정권이 공언한 정책들을 레임덕 없이 추진하기 위해서는 20대 국회의 지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 지지의 원천으로 TK지역이 지목됐다. 박 대통령의 핵심측근인 최경환 부총리가 나서서 TK지역의 비박계 의원 물갈이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의무가 있는 셈이다.
다만 최 부총리가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계산하면 최 부총리의 역할은 TK에 한정될 공산이 크다. TK 지역의 대통령 국정지지도가 60%에 육박하는데 반해 수도권은 30%를 조금 넘는다. 대통령의 핵심측근이라는 이름표를 달더라도 타지역 공천에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은 제한적인 셈이다.
◆ 중구난방 친박에 '교통경찰' 역할
대구 경북 지역 정가에 밝은 새누리당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최 부총리의 역할은 '친박 감별사'와 '교통경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TK 지역에서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절대적인 가운데 최 부총리는 '친박 핵심'이라는 권위를 바탕으로 TK지역에서 누가 진박·비박인지를 판가름 하는 친박 감별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관계자는 "TK 지역의 후보들이 너도 나도 박근혜 마케팅을 하는 바람에 그 파괴력이 약해진 상황"이라며 "이럴 때 박 대통령의 분신으로 볼 수 있는 최 부총리가 특정 후보의 유세에 함께 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친박 감별사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친박계 후보들의 교통정리에도 나설 전망이다. 현재 '진박'을 자처하며 대구 지역에 출마한 후보들에 대한 지지가 예상보다 저조하자 다른 친박 후보를 내려보내야 한다는 재배치론이 부상하고 있다. 대구 달성 출마를 선언했던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출마 지역구를 대구 중·남구로 변경하고 대신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이 달성에 출마하는 것이 단적인 예다.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기존에 당내에 있는 친박 인사들은 최 부총리에 비해 '친박'으로서의 권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고 그러다 보니 친박계 후보들도 일사분란하게 움직이기보다는 개인플레이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 부총리의 복귀에 대해 "교통정리에 빗대자면 기존 친박계 의원들이 '녹색 어머니회'라면 최경환은 '정복 교통경찰'인셈"이라고 빗대어 설명했다.
◆ 친박 “총선 후 당대표 도전 가능성 충분"
총선 이후 최 부총리의 행보로는 당권에 도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할 일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친박계를 주류로 만드는 일이다. 김무성 대표가 지난해 7월 당권을 잡은 이후 원내대표 선거를 비롯한 각종 당내 인사에서 비박계에 잇따라 패배하며 비주류로 전락했다. 이를 역전시키는 과제다.
튼튼한 친박계의 당내 기반 바탕으로 대선을 앞두고 이원집정부제 도입에 힘을 쓸 가능성도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반기문 대통령-친박계 총리의 이원집정부제 도입에 힘쓸 수 있다"며 "박 대통령의 퇴임 이후 친박계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반을 닦으려 할 것"이라고 했다.
친박계 한 중진 의원은 "총선 전에는 시간적으로 전당대회를 할 시간도 없고, 당직을 맡은게 아니라 총선에 직접 관여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20대 국회가 구성되면 당 대표에 도전할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다른 친박계 중진의원 역시 "총선에서는 당직을 맡은게 아니기 때문에 공식적인 역할은 못할 것이지만 의원들과의 친교 차원에서 활동하는게 있지 않겠냐"며 "총선 이후에는 당 대표에 도전할 수도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김종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새누리당 친박계(친박근혜계) 핵심 중의 핵심인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곧 국회의원으로서 여의도로 복귀할 예정인 가운데 그가 당내에서 어떤 역할을 맡을지 관심이다
총선을 앞두고 친박·비박 간 공천제도를 둘러싼 ‘1차전'이 끝난 상황에서 구체적인 공천작업 과정에서 최 부총리가 어떤 역할을 할지에 따라 향후 당내 상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최 부총리의 당대표 도전이 여의도 정가에서 공공연히 거론되면서 당 대표를 맡은 이후 어떤 일이 벌어질지도 관심사다.
최 부총리는 이미 친박계 인사들과 접촉 폭을 넓히고 있다. 8일 친박 중진인 서청원 최고위원, 정갑윤 국회부의장, 김태환 서상기 안홍준 유기준 정우택 홍문종 의원과 재선의 윤상현 의원을 만났다. 또 10일에는 친박 초선인 김진태 정용기 의원 등을 만난데 이어 이번 주에도 친박계 의원들과 회동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 TK지역 공천 영향력이 우선 과제
새누리당 관계자는 "친박 핵심으로서 중구난방인 공천 작업을 마무리하는 작업을 할 것"이라며 "특히 TK(대구·경북)지역에서 최 부총리의 역할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청와대와 친박계는 다른 어느지역보다 TK에는 친박계 인사를 당선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임기 말에구성될 20대 국회에서 정권이 노동·금융·교육·공공 개혁 등 정권이 공언한 정책들을 레임덕 없이 추진하기 위해서는 20대 국회의 지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 지지의 원천으로 TK지역이 지목됐다. 박 대통령의 핵심측근인 최경환 부총리가 나서서 TK지역의 비박계 의원 물갈이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의무가 있는 셈이다.
다만 최 부총리가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계산하면 최 부총리의 역할은 TK에 한정될 공산이 크다. TK 지역의 대통령 국정지지도가 60%에 육박하는데 반해 수도권은 30%를 조금 넘는다. 대통령의 핵심측근이라는 이름표를 달더라도 타지역 공천에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은 제한적인 셈이다.
◆ 중구난방 친박에 '교통경찰' 역할
대구 경북 지역 정가에 밝은 새누리당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최 부총리의 역할은 '친박 감별사'와 '교통경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TK 지역에서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절대적인 가운데 최 부총리는 '친박 핵심'이라는 권위를 바탕으로 TK지역에서 누가 진박·비박인지를 판가름 하는 친박 감별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관계자는 "TK 지역의 후보들이 너도 나도 박근혜 마케팅을 하는 바람에 그 파괴력이 약해진 상황"이라며 "이럴 때 박 대통령의 분신으로 볼 수 있는 최 부총리가 특정 후보의 유세에 함께 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친박 감별사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친박계 후보들의 교통정리에도 나설 전망이다. 현재 '진박'을 자처하며 대구 지역에 출마한 후보들에 대한 지지가 예상보다 저조하자 다른 친박 후보를 내려보내야 한다는 재배치론이 부상하고 있다. 대구 달성 출마를 선언했던 곽상도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출마 지역구를 대구 중·남구로 변경하고 대신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이 달성에 출마하는 것이 단적인 예다.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기존에 당내에 있는 친박 인사들은 최 부총리에 비해 '친박'으로서의 권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고 그러다 보니 친박계 후보들도 일사분란하게 움직이기보다는 개인플레이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 부총리의 복귀에 대해 "교통정리에 빗대자면 기존 친박계 의원들이 '녹색 어머니회'라면 최경환은 '정복 교통경찰'인셈"이라고 빗대어 설명했다.
◆ 친박 “총선 후 당대표 도전 가능성 충분"
총선 이후 최 부총리의 행보로는 당권에 도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할 일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친박계를 주류로 만드는 일이다. 김무성 대표가 지난해 7월 당권을 잡은 이후 원내대표 선거를 비롯한 각종 당내 인사에서 비박계에 잇따라 패배하며 비주류로 전락했다. 이를 역전시키는 과제다.
튼튼한 친박계의 당내 기반 바탕으로 대선을 앞두고 이원집정부제 도입에 힘을 쓸 가능성도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반기문 대통령-친박계 총리의 이원집정부제 도입에 힘쓸 수 있다"며 "박 대통령의 퇴임 이후 친박계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반을 닦으려 할 것"이라고 했다.
친박계 한 중진 의원은 "총선 전에는 시간적으로 전당대회를 할 시간도 없고, 당직을 맡은게 아니라 총선에 직접 관여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20대 국회가 구성되면 당 대표에 도전할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다른 친박계 중진의원 역시 "총선에서는 당직을 맡은게 아니기 때문에 공식적인 역할은 못할 것이지만 의원들과의 친교 차원에서 활동하는게 있지 않겠냐"며 "총선 이후에는 당 대표에 도전할 수도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김종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갑질' 몽고식품, 황당한 월급봉투..가족들이
- 1200장 훔친 즉석복권 긁었더니 그 안에서..
- 北 김정은 '美 핵공격' 거론, 그 배경에는 놀랍게도
- 선긋는 장하성 "安신당 합류는 오보..정치 절대 안한다"
- 새누리당, 대구경선 비박계 초선-진박후보 '진검승부'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