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마지노선 연령 '남 30·여 28살'
[한겨레] 기업 511곳 조사결과
40%가 적정선 넘긴 지원자 꺼려
취업준비 기간 긴 현실과 거꾸로
기업 10곳 중 4곳 꼴로 일정 수준의 나이를 넘긴 신입사원 채용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난 때문에 취업준비 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현실과는 거꾸로 가는 셈이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기업 511곳의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9.3%가 ‘신입사원 채용 시 적정연령을 넘긴 지원자는 꺼리는 편’이라고 답했다고 12일 밝혔다.
그 이유로는 ‘기존 직원들이 불편해해서’(48.3%·복수응답)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나이만큼 연봉 등 눈높이도 높아서’(45.8%), ‘조직 위계질서가 흔들릴 것 같아서’(35.3%), ‘역량이 부족해 취업이 늦은 것 같아서’(16.9%), ‘조직 적응을 어려워 할 것 같아서’(16.4%) 등의 차례였다.
채용 마지노선 연령의 평균은 남성은 30.3살, 여성은 28.4살이었다. 실제로 응답기업의 51.2%는 ‘다른 조건이 우수해도 나이를 이유로 탈락시킨 지원자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신입 지원자의 나이에 대해서는 ‘상승하는 추세’(77.1%)라는 답이 ‘하락하는 추세’(6.5%)보다 많았다.
기업이 생각하는 ‘대졸 신입사원의 적정 연령’은 남성은 평균 28살, 여성은 25.7살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기업 34.4%는 공백기가이 긴 지원자에 대해 ‘감점 처리하거나 탈락시키는 등 부정적으로 평가한다’고 했다.
공백기가 길다고 판단되는 기준은 ‘졸업 후 1년 이상’(45.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졸업 후 2년 이상’(39.2%), ‘졸업 후 1년 6개월 이상’(8%), ‘졸업 후 6개월 이상’(7.4%) 순이었다.
윤영미 선임기자 youngmi@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집 나온 16살이 밤 지새울 곳은 24시 카페뿐이었다
■ AP통신 “북 핵실험, 김정은이 박 대통령한테 준 선물”
■ 과거사 재심 ‘무죄 구형’ 임은정 검사 퇴직 위기 넘겨
■ [화보] 노팬츠데이, 지하철 ‘하의실종’
■ [화보] 100년전 사람들이 상상했던 ‘21세기’ 모습은?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