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더P] 다시 갈라진 친노-동교동 '앙숙의 역사'
"저는 60여 년 정치 인생 처음으로 몸담았던 당을 저 스스로 떠나려고 합니다."
"당 지도부의 꽉 막힌 폐쇄된 운영 방식과 배타성은 이른바 '친노패권'이란 말로 구겨진 지 오래됐습니다."
권노갑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이 12일 탈당 기자회견에서 한 말이다. 권 고문의 탈당은 야권 민주당계 원류로 불리는 동교동계와 더민주당 주류 세력인 친노계의 결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잠시 휴지기였던 더민주당의 두 축 친노계(친노무현계)·운동권 인사와 동교동계 간 갈등이 다시 시작된 것이다.
두 진영의 갈등은 2003년 노무현정부 시절 '대북송금 특검'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대중(DJ)정부를 상징하는 업적은 남북 정상회담인데 이를 겨냥한 게 노무현 정권 초기 '대북송금 특검'이다. 친노와 동교동계가 갈라설 수밖에 없었던 셈이다.
대북송금 문제는 김 전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 대가로 북한에 5억달러를 줬다는 의혹이다. 이를 밝히기 위한 특검이 이뤄지면서 당시 박지원 대통령 비서실장 등 DJ정부 핵심 인사들이 줄줄이 구속됐다. 이후 김 전 대통령을 따르는 동교동계는 "노무현 대통령이 특검법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은 것은 배신 행위"라고 비판해 왔다.
친노·초선 세력이 중심이 된 열린우리당 창당도 서로 간에 앙금이 쌓인 이유다. 열린우리당 창당파는 스스로를 호남의 적자, 새천년민주당을 '구태정당'으로 규정하며 2003년 창당을 강행했다.
두 진영의 갈등은 노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극에 달했다. 2004년 노 대통령이 열린우리당을 지지하며 정치적 중립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동교동계 중심 새천년민주당이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과 함께 노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통과시킨 것이다.
그러자 이에 반발한 민심이 그해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을 선택했다. 열린우리당은 152석으로 과반 의석을 차지해 원내 1당이 됐다. 반면 새천년민주당은 호남에서도 열린우리당에 패하며 원내 4당으로 전락했다.
열린우리당 창당 주역인 천정배 무소속 의원은 지난달 29일 열린우리당 창당에 대해 "지난날 전략적 과오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면서 호남 주민과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호남의 희생을 바탕으로 패권의 싹이 자라나게 했다"고 말했다.
사실상 호남을 비롯해 야권의 원류로 불린 동교동계를 향한 발언인 셈인데 그만큼 열린우리당 창당이 동교동계에 입힌 상처가 큰 것이다.
이후 동교동계와 친노·운동권은 2008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야권 통합이라는 명분하에 대통합민주신당으로 뭉치면서 불편한 동거를 시작한다.
그러나 두 진영은 공천을 두고 곳곳에서 파열음을 냈다. 2012년 4·11 총선을 앞두고 당시 한명숙 민주통합당 당대표가 주도한 공천에서 동교동계 인사들이 대거 공천에 탈락했다. 동교동계로 김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한광옥 전 의원은 공천 탈락 후 "친노 세력이 패권주의에 빠졌다" "이번 공천은 친노 세력에 의한 동교동계 죽이기"라고 비판하며 탈당했다. 이후 새누리당에 입당했다.
동교동계인 김덕규 전 국회부의장(중랑을) 역시 공천 탈락 후 당 지도부를 직접 겨냥해 "당신네들의 함량 미달 심사로 60년 민주당의 역사가 풍전등화에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권 고문 탈당으로 친노계와 동교동계는 다시 한 번 갈라서게 됐다. 더민주당은 12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권노갑 상임고문 탈당은 우리로서는 참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라며 "60년 정통 야당을 지키고 바로세우기 위해 좀 더 애써주실 수는 없었는지 실로 아쉽고 안타깝다"고 밝혔다.
[김종훈 기자]
[정치뉴스의 모든 것 레이더P 바로가기]
기사의 저작권은 '레이더P'에 있습니다.
지면 혹은 방송을 통한 인용 보도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는 60여 년 정치 인생 처음으로 몸담았던 당을 저 스스로 떠나려고 합니다."
"당 지도부의 꽉 막힌 폐쇄된 운영 방식과 배타성은 이른바 '친노패권'이란 말로 구겨진 지 오래됐습니다."
권노갑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이 12일 탈당 기자회견에서 한 말이다. 권 고문의 탈당은 야권 민주당계 원류로 불리는 동교동계와 더민주당 주류 세력인 친노계의 결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잠시 휴지기였던 더민주당의 두 축 친노계(친노무현계)·운동권 인사와 동교동계 간 갈등이 다시 시작된 것이다.
두 진영의 갈등은 2003년 노무현정부 시절 '대북송금 특검'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대중(DJ)정부를 상징하는 업적은 남북 정상회담인데 이를 겨냥한 게 노무현 정권 초기 '대북송금 특검'이다. 친노와 동교동계가 갈라설 수밖에 없었던 셈이다.
대북송금 문제는 김 전 대통령이 남북 정상회담 대가로 북한에 5억달러를 줬다는 의혹이다. 이를 밝히기 위한 특검이 이뤄지면서 당시 박지원 대통령 비서실장 등 DJ정부 핵심 인사들이 줄줄이 구속됐다. 이후 김 전 대통령을 따르는 동교동계는 "노무현 대통령이 특검법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은 것은 배신 행위"라고 비판해 왔다.
친노·초선 세력이 중심이 된 열린우리당 창당도 서로 간에 앙금이 쌓인 이유다. 열린우리당 창당파는 스스로를 호남의 적자, 새천년민주당을 '구태정당'으로 규정하며 2003년 창당을 강행했다.
두 진영의 갈등은 노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극에 달했다. 2004년 노 대통령이 열린우리당을 지지하며 정치적 중립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동교동계 중심 새천년민주당이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과 함께 노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통과시킨 것이다.
그러자 이에 반발한 민심이 그해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을 선택했다. 열린우리당은 152석으로 과반 의석을 차지해 원내 1당이 됐다. 반면 새천년민주당은 호남에서도 열린우리당에 패하며 원내 4당으로 전락했다.
열린우리당 창당 주역인 천정배 무소속 의원은 지난달 29일 열린우리당 창당에 대해 "지난날 전략적 과오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면서 호남 주민과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호남의 희생을 바탕으로 패권의 싹이 자라나게 했다"고 말했다.
사실상 호남을 비롯해 야권의 원류로 불린 동교동계를 향한 발언인 셈인데 그만큼 열린우리당 창당이 동교동계에 입힌 상처가 큰 것이다.
이후 동교동계와 친노·운동권은 2008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야권 통합이라는 명분하에 대통합민주신당으로 뭉치면서 불편한 동거를 시작한다.
그러나 두 진영은 공천을 두고 곳곳에서 파열음을 냈다. 2012년 4·11 총선을 앞두고 당시 한명숙 민주통합당 당대표가 주도한 공천에서 동교동계 인사들이 대거 공천에 탈락했다. 동교동계로 김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한광옥 전 의원은 공천 탈락 후 "친노 세력이 패권주의에 빠졌다" "이번 공천은 친노 세력에 의한 동교동계 죽이기"라고 비판하며 탈당했다. 이후 새누리당에 입당했다.
동교동계인 김덕규 전 국회부의장(중랑을) 역시 공천 탈락 후 당 지도부를 직접 겨냥해 "당신네들의 함량 미달 심사로 60년 민주당의 역사가 풍전등화에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권 고문 탈당으로 친노계와 동교동계는 다시 한 번 갈라서게 됐다. 더민주당은 12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권노갑 상임고문 탈당은 우리로서는 참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라며 "60년 정통 야당을 지키고 바로세우기 위해 좀 더 애써주실 수는 없었는지 실로 아쉽고 안타깝다"고 밝혔다.
[김종훈 기자]
[정치뉴스의 모든 것 레이더P 바로가기]
기사의 저작권은 '레이더P'에 있습니다.
지면 혹은 방송을 통한 인용 보도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1200장 훔친 즉석복권 긁었더니 그 안에서..
- 北 김정은 '美 핵공격' 거론, 그 배경에는 놀랍게도
- 70대男, 지하실서 '부스럭' 총으로 쐈는데..정체가
- 새누리당, 대구경선 비박계 초선-진박후보 '진검승부'
- 식약처 "보톡스 잘못 사용하면 근육마비·신경장애 유발"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