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외식업체, 해외로..非한식 매장 해외 진출 더 많은 이유는?

2016. 1. 12. 17: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국내 외식업체가 해외에 운영하는 매장 수는 지난해 10월 말 현재 4656개로 1년 전(3726개)보다 25% 증가했다. 해외 진출 업체는 2014년 120곳에서 2015년 138곳으로 늘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의 ‘외식기업 해외 진출 실태 조사’를 12일 발표했다. 지난해 해외 매장 수는 2010년(991개)의 4.7배로 늘었고 매년 증가 추세다. 해외 매장이 가장 많은 국내 업체는 델리만쥬였다. 델리만쥬는 지난해 문을 연 179개를 포함해 총 779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델리만쥬에 이어 카페베네(721개) 레드망고(388개) BBQ(350개) 롯데리아(342개) 순으로 해외 매장이 많았다. 이들을 포함한 상위 10개 업체의 매장이 전체 해외 매장의 73%를 차지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에 있는 매장이 1814개로 가장 많았다. 미국(1444개) 베트남(292개) 필리핀(195개)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 매장이 가장 많은 업체는 카페베네(538개)였고, 미국 매장은 델리만쥬(700개)가 가장 많았다.

업종별로 보면 제과 커피 패스트푸드 등 비(非)한식 업종이 4176개로 한식 매장 480개의 8.7배에 달했다. 비한식 매장은 2014년보다 798개 증가했지만 한식 매장은 132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주명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비한식업종이 한식 업종에 비해 다른 나라 사람들의 입맛을 맞추는데 용이해 진출이 활발하다”고 설명했다.

현지 회사에 영업권을 주는 형태의 해외 진출은 준 반면 국내 업체가 직접 매장을 세우는 사례가 늘었다. 이 경우 해외로 수출하는 식재료 양도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한우신 기자 hanwshin@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