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세계은행 '서아프리카 지원 프로젝트' 한국 수주 유력
[경향신문] ㆍ해수부, 해양수산 제안서 제출 관련 사업 해외 진출에 호재로
서아프리카 10개 개발도상국의 해양산업 개발을 위해 세계은행(WB)이 추진하는 첫 해양수산프로젝트를 한국이 수주하는 것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한국은 개도국들에 해양수산 기술을 전파·교육하게 되면서 세계 해양수산업 분야에서 위상이 크게 높아진다.
12일 해양수산부와 업계에 따르면 이달 말 해수부는 해양수산프로젝트 4개 부문 10개 과제를 담은 사업제안서를 세계은행에 제출한다. 이어 다음달 미국 워싱턴에 있는 세계은행 본부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워크숍을 갖고 최종 계약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0월 한국을 방문한 세계은행 관계자들은 부산 기장군 동해어업관리단 내 조업감시센터를 둘러본 뒤 해수부 측에 프로젝트의 빠른 제출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부가 마련한 4개 프로젝트는 선박들의 조업을 모니터를 통해 감시·통제하는 조업감시센터 설치, 해수면과 내수면의 자원을 늘리는 수산자원 관리, 인공어초 설치 등의 수산자원 조성, 수산양식 기술을 전수하는 세계수산대학 서부아프리카 학생 교육 등으로, 사업비용은 총 200만달러(24억원) 규모다. 해수부는 13일 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자원관리공단, 수산과학원 등 공공기관, 민간 컨설턴트들과 정부세종청사에서 회의를 갖고 구체적인 사업을 확정한다.
세계은행은 연간 500억~600억달러를 개도국 개발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다. 지금까지 세계은행은 해양수산 분야를 환경보호 측면에서 접근했지만 이 분야가 개도국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처음으로 산업적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도국의 경우 인구의 12~13%가 수산업에 종사하고, 국내총생산의 14~15%가 수산업에서 나온다. 1960년대 한국은 원양어업과 수산물 수출 등을 통해 벌어들인 달러를 경제개발에 투자,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다. 수산자원이 풍부한 세네갈, 기니, 라이베리아, 모리타니 등 서부아프리카 국가들은 이 같은 ‘한국모델’을 주목하고 있다.
세계은행은 해양수산 분야 지원이 개도국 성장에 기여하면서 불법조업에 대한 관리도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 사업을 서두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은행은 1차 프로젝트 수행 결과를 보고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한국형 조업감시센터가 서부아프리카에 설치되면 한국의 정보통신산업도 동반진출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해수부 관계자는 “1차 프로젝트는 200만달러 수준이지만 프로젝트 성공 여부에 따라 사업이 몇 억달러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병률 기자 my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군기지 무단 촬영 중국 고교생, 인천·김포·제주공항도 촬영
- [속보] 창원지법,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명태균·김영선 보석 허가
- “신세 많이 졌습니다”···윤석열 파면으로 ‘기쁨의 영업종료’ 향린교회
- [속보]이완규 “한덕수 ‘지명 결정’ 존중···권한대행도 할 수 있어”
- [속보] 법사위, 대통령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지명 막는 법안 통과
- 민주당-이완규, 국회서 충돌…한덕수 헌법재판관 임명 후폭풍
- 북 좌석은 빈 채로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447억 손배소 재판 3분 만에 종료
- 붙잡자니 올드하고 놓자니 아까운 이름…현대건설이 힐스테이트·The H 대신 ‘현대’로 이벤트
- 한동훈, 국회 계단에서 대선출마 선언하는 이유는
- “여우가 왕 노릇 하려 해”···시민단체, ‘헌재재판관 지명’ 한덕수 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