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 수석 대표' 13일 서울서 회동..중국 태도에 주목
[앵커]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제재는 어떻게 될까요? 미국의 무력시위는 최고조를 향해 가고 있고, 일본도 연일 목청을 높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효과적인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중국은 뒷걸음치는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북한이 믿는 것은 바로 이런 구조일 수도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 상황에서 한국정부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냉정하게 계산해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런 가운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가 모레(13일) 서울에서 만날 예정입니다. 뒷걸음치는 중국을 붙잡자는 것이 그 목적입니다. 외교부 취재기자를 연결해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임진택 기자, 한·미·일이 만나 북핵 문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하는데, 서울에서 우선 만나죠?
[기자]
네. 외교부는 모레인 13일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가 서울에서 만나 북핵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안의 긴박성이나 민감성을 고려할 때 기존의 장관 간, 정상 간 통화하던 방식에서 더 나아가서 실무진이 직접 만나 논의를 하기로 한 겁니다.
[앵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관건은 중국, 그리고 러시아 등인데, 이 두 나라의 협조를 구해서 제재의 실효성을 높인다, 그런 부분이겠죠?
[기자]
유엔을 통한 제재, 여기서 중국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외교부가 인식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 동안 중국은 대북 제재에서 유엔을 통한 제재에는 상당히 소극적 입장을 보인 반면, 6자 회담을 통한 제재, 원칙론적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앵커]
그런데 중국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인데, 그건 어떻게 예상됩니까?
[기자]
우리측 수석 대표인 황준국 평화교섭본부장이 바로 다음날인 목요일 중국 베이징으로 직접 가서 우다웨이 중국측 6자회담 수석 대표를 만나게 됩니다.
이 자리에서 한미일 간에 사전 조율된 의제를 중국 측에 직접 제안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중국은 그 동안 북핵 문제에 대해서 비핵화, 평화, 대화라는 원칙론만을 강조해왔기 때문에 그 결과를 예상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앵커]
그 부분에 있어서 그렇게 낙관적일 수 없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제 B-52 전략폭격기가 한반도 상공에 투입됐었는데, 미국은 추가적인 전략 자산, 그러니까 무기라고 해야 되겠죠, 더 투입할 것으로 예상됩니까?
[기자]
2013년 3차 핵실험 때도 투입된 바 있는 B-2 스텔스 폭격기가 상당히 유력시 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신형 핵항공모함인 로널드 레이건호, 그리고 현존 최강의 전투기라는 F-22 랩터 등도 추가로 배치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런 미국의 전력 자산들이 잇따라 한반도에 배치될 경우에 긴장감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게 상시 배치냐, 아니면 들렀다 가는 정도냐 하는 것인데, 지금까지 예를 보면 상시 배치는 물론 아니었기 때문에 북한이 과연 여기에 대해서 얼마나 긴장할 것이냐, 우선 반응은 나왔죠, 오늘?
[기자]
그렇습니다. 북한의 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을 통해서였습니다. 오늘자였는데요.
"미국이 남한에 핵전략 폭격기를 들이대고 있다. 그래서 한반도 정세를 전쟁 접경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핵실험의 당위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미·일·중 6자 수석대표 13~14일 '북핵' 연쇄협의
- 북, 'B-52 출격' 비난..한미, 전략자산 추가 전개 협의
- 정부, 개성공단 체류인원 추가 제한..800명→650명
- 김정은 "수소탄 실험은 자위적 조치"..정당성 주장
- "북, '군수공업부장' 김춘섭에서 리만건으로 교체"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