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부산 老부산·中] 빨리 늙는 도시..인구절벽·고령화 대책 시급

민왕기 기자,김항주 기자,김민경 기자 2016. 1. 7. 16: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6년간 60대 이상 16만명↑·60대 이하 21만명↓ 현 출산율 지속시 2200년 12만명 소도시로 전락

[편집자 주] 제2 도시인 부산시의 인구가 지속적인 감소추세에 있다. 10년 안에 인천시에 밀려 제3의 도시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뉴스1은 이에 따라 병신년(丙申年) 새해를 맞아 부산 인구감소 문제와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비롯해 이와 관련한 대책을 3회에 걸쳐 집중적으로 짚어본다.

7일 오전 부산시청 녹음광장에서 노인들이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담소를 나누고 있다. 2016. 1. 7© News1 이승배 기자

(부산ㆍ경남=뉴스1) 민왕기 기자,김항주 기자,김민경 기자 = 부산시가 지난해 서울, 대구, 대전, 인천 등 특·광역시 중 가장 먼저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남, 경북, 전북, 강원, 충남, 충북에 이어 7번째다.

2005년 8.3%였던 부산의 노인인구 비중은 2015년 14.7%로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부산인구 356만1162명 중 50만명이 노인이다. 이 수치는 2030년에 28.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 저출산, 학령인구의 이탈, 청년층의 타도시 이동이 함께 문제로 대두된다. 고령화에 따른 노인빈곤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년간 60대 이상 16만명 늘고, 60대 이하 21만명 줄었다

뉴스1이 최근 6년간(2010~2015년) 부산시의 연령별 인구현황을 분석한 결과, 60세 이상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60세 이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60대 인구는 2010년 35만2195명→2015년 43만2899명으로 6년만에 8만704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0대는 같은 기간 5만3682명, 80대는 2만4587명, 90대는 3399명, 100세 이상은 446명 늘었다. 이를 모두 합하면 60대 이상 인구가 16만2818명이 늘어났다는 계산이 나온다.

50대는 2010년 59만7874명에서 2013년 63만2551명으로 늘어났다가 2015년 61만9703명으로 다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같은 기간 40대는 4만1290명, 30대는 4만8506명, 20대는 4만3998명, 10대는 10만1603명, 10세 이하는 3383명 감소했다. 60대 이하 인구감소를 모두 합하면 21만6948명이다.

특히 초·중·고 학령인구인 10대가 10만명 이상 줄어드는 등 젊은 층이 부산을 떠나고 있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통계로도 확인되고 있다.

낮은 출산율과 학령인구의 유출, 젊은 세대의 타 도시 이동의 비중이 높은 것이 부산 고령사회 진입의 주범으로 꼽힌다. 50대 이하의 젊은 층들이 부산을 떠나고, 60대 이상의 장년층이 부산을 지키는 악순환의 되풀이다.

■부산 출산율도 ‘전국 최하위’…2200년엔 12만명 소도시된다

고령화와 함께 부산의 출산율이 저조한 것도 큰 문제로 부각된다. 지난해 부산의 합계 출산율은 1.09명으로 2010년 이래 16개 시도 중 만년 15위를 기록하고 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수로, 이때 출산이 가능한 여성의 나이는 15세부터 49세까지로 정하고 있다.

2015년 1월 국회 입법조사처가 발간한 ‘균형인구 산정과 정책적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출산율이 지속된다면 2200년 부산은 12만명의 소도시 수준으로 전락하게 된다.

늙어가는 도시는 개개인 차원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바로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에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부산은 우리 경제를 떠받치고 있던 1955년부터 1963년 사이 태어난 ‘베이비부머’가 차지하는 인구 비율이 전국 7개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다.

부산복지개발원이 지난해 말 내놓은 ‘부산시 베이비부머 노후복지를 위한 종합대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이 초고령사회(65세 이상 20%↑)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는 2028년은 베이비부머의 마지막인 1963년생이 65세가 되는 시점과 일치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비부머가 속한 부산지역의 50대 고용률은 71.6%로 전국 평균 74.2%보다 낮다. 이들의 노후준비는 부부가 소유한 주택 한 채가 전부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가입비율은 58.9%에 그쳤다.

■빠른 고령사회 진입…더 큰 문제는 전국평균 상회하는 노인 빈곤율

부산의 노인인구 증가보다 더 큰 문제는 노인 빈곤문제다. 통계청이 매년 내놓는 ‘고용자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4년간 부산시 65세 이상 고령자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은 매년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부산시의 연도별 수급비율(전국평균)은 2015년 7.5%(5.8%), 2014년 7.8%(6.0%), 2013년 8.1%(6.3%), 2012년 8.8%(6.7%)였다.

국민고령자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국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노인 빈곤층이 많다는 의미다.

통계청에 따르면 부산지역의 65세 이상 노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4년 25.1%(전국31.9%), 2013년 24.6%(31.4), 2012년 21.8%(30.6%), 2011년19.2%(29.5%)로 증가하는 추세지만 전국 평균에 훨씬 못미치는 수치다.

OECD의 ‘한 눈에 보는 연금(Pension at a Glance 2015)’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50%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고 OECD 평균인 13%의 4배에 가까운 수치인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나라 고령자들은 소득에서도 OECD 국가 중 꼴찌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전체 평균 소득 대비 노인 평균 수입은 60%로 이 또한 최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일터 찾는 60대 ‘부모 봉양·자식 교육’에 등골 휘어

사정이 이렇다보니 65세를 넘어서도 생계를 위해 아파트 경비일이나 청소관리 일을 시작한 노인들을 부산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지난해 세 번의 아파트 경비 지원 끝에 경비원 일을 시작한 서보용(66)씨는 “자영업을 했기 때문에 국민연금엔 따로 가입하지 못했고, 현금화할 수 없는 집이 소득으로 잡혀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지원금도 제대로 받지 못해 경비일이라도 찾아 나섰다”고 말했다.

5년째 건물 관리일을 하고 있는 김광수(67)씨는 “녹록지 않은 경비일을 하는 사람은 100% 생계비를 벌기 위해 일한다”며 “2014년부터 소득에 따라 차별 지급되는 기초연금 지원금도 2만원에서 많아봐야 15만원 정도에 그쳐 그것만으로는 기본적인 생활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식들 대학 보내랴 부모 봉양하랴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60대들이 무조건 일을 찾아 나서야 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부산시의 한 대학교에서 5년째 청소일을 하는 한 남성(59세)은 “매일 아침 5시 반에 일어나 7시까지 일터에 나온다. 과거에 어떤 일을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현재 한국에서 60대가 할 수 있는 일은 청소일 아니면 경비일”이라고 했다.

전국 평균을 웃도는 부산의 노인빈곤 문제는 앞으로 더 심각해 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부산시가 고령사회에 접어든 시점에서 노인문제에 얼마나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느냐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다.

부산시 관계자는 “시단위의 노인정책이라고 해서 크게 다른 것은 없다. 정부, 보건복지부의 정책 지침에 맞춰 충실히 따라가고 있다”면서 “올해 5명의 팀원으로 운영되는 장노년지원팀(계장 포함 5명)을 신설해 고령화 및 노인문제에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wanki@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