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일지] 북한 핵실험 관련 주요 일지

2016. 1. 6. 12:35
번역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6일 북한0 함경북도 길주군에서 규모 4.2의 인공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으로 지난 2013년 북한 핵실험에서도 비슷한 진도의 지진이 관측된 바 있다. (38노스 홈페이지 캡쳐) 2016.1.6/뉴스1 © News1 조현아 인턴기자

▲2003년 1월10일 북한,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
▲2005년 2월10일 북한, 핵무기 보유 선언
▲2005년 5월11일 영변 5MW 원자로에서 8000개 폐연료봉 인출 완료 발표
▲2005년 9월19일 6자회담에서 '북한이 모든 핵무기를 파기한다'는 내용의 9·19공동성명 채택
▲2006년 7월5일 북, 장거리 미사일 대포동 2호를 포함한 7기 미사일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발사장서 시험 발사. 대포동 2호 발사 40초 후 폭발해 실패.
▲2006년 7월15일 유엔 안보리 1695호 결의 채택. 북한의 미사일 관련 군수품 무역거래와 탄도미사일 개발 활동 중단 촉구
▲2006년10월9일 북, 제1차 핵실험 강행
▲2006년10월14일 유엔 안보리 1718호 결의 채택. 북한 미사일 및 핵실험과 미사일 관련 군수품 무역거래 중단 재차 압박
▲2008년 6월27일 북, 영변 원자로 냉각탑 폭파·해체
▲2008년 12월8~11일 6자회담 수석대표 베이징서 회동했으나 결렬
▲2009년 4월5일 북, '은하 2호' 무수단리 발사장서 발사 시험 강행
▲2009년 4월13일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북 외무성 핵시설 원상복구 발표
▲2009년 4월29일 북,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예고
▲2009년 5월25일 북, 제2차 지하 핵실험 실시
▲2009년 6월12일 안보리, 1874호 결의 채택. 북한 핵탄두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제재 강화, 북 외무성 새로 추출한 플루토늄 전량 무기화 및 우라늄 농축 착수 발표
▲2012년 4월13일 북,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대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2분15여초 만에 추락
▲2012년 4월16일 북 장거리 로켓 발사 따른 유엔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2012년 12월12일 동창리 발사대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성공
▲2013년 1월22일 안보리 2087호 결의 채택
▲2013년 1월26일 김정은, 국가안전 및 대외부문 일꾼협의회 주재…국가적 중대조치 결심
▲2013년 2월3일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서 "자주권 지키기 위한 중요한 결론을 내렸다"고 발언
▲2013년 2월12일 북, 제3차 핵실험 실시
▲2013년 3월7일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결의 2094호 채택
▲2013년 4월2일 북한, 영변 5MW 원자로 재가동 선언
▲2016년 1월6일 북한 4차 핵실험. 북 "첫 수소탄 실험 성공"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검색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