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우주] 블랙홀은 얼마나 커질 수 있나? - 태양질량 500억 배가 한계
[서울신문 나우뉴스]
우리 미리내 은하의 중심부에는 고도로 농축된 공간이 존재하는데, 이로부터는 어떤 것도 탈출할 수가 없다. 심지어는 빛조차 탈출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볼 수가 없다. 과학자들은 그것이 초질량의 블랙홀이라고 믿고 있다.
그러한 블랙홀은 어떤 은하든 모두 하나씩 갖고 있다. 그런데 그 블랙홀이 과연 얼마만큼 커질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있는데, 거기에는 물리적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레스터 대학의 연구자들에 따르면, 이 거대 블랙홀이 활동을 멈추기 전까지 커질 수 있는 한계 질량은 우리 태양 질량의 약 500억 배라고 한다.
블랙홀은 초거성이 항성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붕괴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고밀도의 천체다. 그 중력이 너무나 크기 때문에 빛조차도 탈출할 수 없으며, 주변의 모든 물질들을 닥치는 대로 집어삼키는 탐욕스러운 존재다.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보에 발표된 논문에서 레스터 대학 앤드류 킹 천문학 교수는 블랙홀이 이 한계 질량의 문턱을 넘어서면 주위에 있는 가스 고리를 흐트러버린다고 설명한다. 블랙홀을 살찌우던 이 디스크들은 불안정한 상태로 별들 속으로 흡수된다.
천문학자들의 계산서를 보면, 태양 질량의 500억 배까지 질량이 불어난 블랙홀은 더이상 외부 물질들을 끌어들이지 않고 성장을 멈추는 것으로 나와 있다.
우리은하의 총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1000억 배로 추산되고 있다. 따라서 블랙홀의 한계 질량은 우리은하 총질량의 반쯤 된는 셈이다.
킹 교수는 “블랙홀 한계질량의 발견은 천문학자들이 블랙홀로 떨어지는 가스 원반이 방출하는 엄청난 복사의 총량을 알아냄으로써 가능했다”면서 “한계질량의 의미는 이보다 더 큰 질량의 블랙홀은 존재할 수 없다는 뜻으로, 이는 더 이상 물질을 공급하는 강착원반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한계질량의 문턱을 넘어선 블랙홀은 어두워지며 더이상 블랙홀을 살찌우는 가스 원반이 방출하는 빛을 볼 수 없게 된다. 어쨌든 블랙홀은 그렇게 검지도 희지도 않다는 말이다.
킹 교수는 이 한계질량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블랙홀이 비록 주변의 가스를 더이상 흡입하지는 못하지만, 다른 방법으로 덩치를 키울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킹 교수는 “원칙적으로 더 큰 블랙홀도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한계질량의 블랙홀이 다른 블랙홀과 합병하면 더 큰 블랙홀이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이 합병된 블랙홀에서는 어떤 빛도 탈출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관측할 수가 없다. 그리고 그 블랙홀에는 복사를 방출하는 어떤 가스 원반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러나 간접적인 방법으로 그런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데, 빛이 블랙홀 주위를 지날 때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라 중력렌즈 현상을 일으켜 약간 굴절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광식 통신원 joand999@naver.com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20대 남녀, 기차 안에서 女승객 위협하며 ‘성관계’☞ 마트에서 부끄럽지도 않나? 독특한 노출증 멕시코女☞ 목을 ‘낫’으로 고정시킨 ‘뱀파이어 유골’ 폴란드서 발견☞ 남녀경찰 공공장소에서 정복 입고 부적절 행위☞ 거대 소행성, 지구 향해 돌진중…‘크리스마스의 공포’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20대 남녀, 기차 안에서 女승객 위협하며 '성관계'
- "영어" 하루 30분으로 미국인 되는 법..놀랍네
- 마트에서 부끄럽지도 않나? 독특한 노출증 멕시코女
- 목을 '낫'으로 고정시킨 '뱀파이어 유골' 폴란드서 발견
- 남녀경찰 공공장소에서 정복 입고 부적절 행위
- “의원 배지 떨어진 설움” 민경욱 국회왔다 새차 견인당해
- 아파트 방화살인범 안인득, 무기징역 감형 불복 대법원 상고
- 목줄 없이 달려든 개에 놀라 전치 3주…견주 벌금 50만원
- “박사방 22GB 싸요 싸”… 아직도 조주빈은 있다
- “양질의 일자리 부족 가장 큰 원인… 직무능력으로 임금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