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영향에 한국 해수면 40년간 10cm 상승
연평균 2.48mm씩 해수면 높아져…포항 해수면 상승률 가장 높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해수면이 지난 40년간 약 10㎝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16일 누적된 해수면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반도 해역의 평균 해수면이 최근 40년간 약 10cm 상승했다고 밝혔다.
국립해양조사원이 2009년부터 매년 발표한 해수면 변동률에 따르면 올해 산정된 해수면 상승률은 평균 2.48mm다. 올해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률(2.48㎜/yr)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후센터(IPCC)가 2013년 발표한 전 세계 평균값(2.0㎜/yr)보다 높다.
해역별로는 남해가 2.89㎜로 가장 해수면 높아졌고 동해는 2.69㎜, 서해는 1.31㎜ 각각 올랐다. 지역별 상승률은 포항이 (5.82mm/yr) 가장 높았다. 대흑산도(0.1mm/yr)가 전국에서 해수면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해수면 상승률이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지반 침하와 연안 개발에 따른 지형 변화 등 국지적인 요인 때문으로 분석됐다. 해역별 수온 상승 차이에 따른 열팽창 효과 등에도 영향을 받았다.
국립해양조사원 관계자는 “기후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양질의 해수면 관측자료 생산 및 제공과 더불어 정밀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며 “앞으로 국지적 해수면 상승 원인 규명과 함께 미래 상승에 대한 예측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co.kr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해외부동산 투자 '손실 4兆' 넘었다[시그널]
- 베이징만 1100명인데…韓 AI 전문교사 '0명'
- 국힘 '주 4.5일 근로' 대선공약 공식화
- 누적 부채 21조에 'KTX 교체' 임박…적자구조 개선 논의 필요
- [이희옥 칼럼] 美, 중국의 수를 잘못 읽었다
- 尹 '정치인 체포 새빨간 거짓말…계엄은 평화적 메시지'
- '전 국민 무료 '한국형 챗GPT' 사용…'AI 기본사회' 만들겠다'
- '가격 뛰기 전에 쟁여두자'…美유학생들 휴지·김·선크림 '한국산 사재기’
- 동원F&B 상장폐지…동원그룹 100% 자회사 편입
- 트럼프 '반도체 새 관세 다음주 발표, 머지않은 미래 시행'(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