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1) 진현권 기자 = 경기도는 도시재정비 촉진지역 및 정비사업 해제지역에 대한 효율적인 도시재생사업마련을 위해 연구용역을 추진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도시재정비 촉진지역 및 정비사업 해제지역에 대한 관리방안 부재로 주민들의 개발요구 민원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데다 구도심의 쇠퇴현상마저 가속화돼 맞춤형 도시재생사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도내에는 재정비촉진 해제지역 9개시군 164개구역, 정비사업 해제지역 11개 시군 39개구역, 구도심 쇠퇴지역 28개시군 195개 지역에 달하고 있다.
2007년 3월 도내에서 처음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부천시 소사(243만4729㎥), 원미(98만7539㎥), 고강(174만5378㎥) 등 3개지구는 2009년 5~6월 재정비촉진계획 결정이 이뤄졌다. 그러나 이후 불어닥친 부동산경기침체로 지난해 7~8월 해당 지역 모두 촉진지구에서 해제된 상태다.
의정부시 금의(101만120㎥), 가능(132만6817㎥), 평택시 안정(50만412㎥),시흥시 은행(61만1162㎥), 오산시 오산(297만4703㎥) 등 7개지구도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해 좌초됐다.
도는 따라서 도시재정비 촉진지역 등에서 해제된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재생방안마련을 위한 용역을 내달 발주하기로 했다. 용역은 1억9800만원이 투입돼 내년 6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연구용역을 통해 재정비촉진 정비사업 해제구역과 쇠퇴지역 현황을 분석해 개발방안을 제시하고, 경기도형 도시재생사업 추진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시재생사업 추진을 위한 지원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 연구용역을 통해 사업구역별 특성에 맞는 경기도형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공동체 회복과 주거환경개선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jhk1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