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내년 최저임금 시급 6천30원·월급 126만원…8.1% 올라(종합)

송고 2015년07월09일 01시05분

노동계 불참 속 공익위원안 표결…전체 27명중 16명 투표 참여노동계 "턱없이 낮은 금액" vs 경영계 "중소기업 큰 부담 될것"

내년 최저임금 시급 6천30원·월급 126만원
내년 최저임금 시급 6천30원·월급 126만원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박준성 최저임금위원장이 9일 새벽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실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시급이 올해보다 8.1%(450원) 오른 6천30원으로 결정됐다고 밝히고 있다. 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126만270원(월 209시간 기준)이 된다. 왼쪽은 류경희 부위원장, 오른쪽은 이장원 공익위원 간사.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 내년도 최저임금 시급이 올해보다 8.1%(450원) 오른 6천30원으로 결정됐다.

최저임금위원회는 8일 12차 전원회의를 열어 내년 최저임금 인상안을 의결했다.

인상 폭은 지난해 7.1%(370원)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내년 최저임금 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126만270원(월 209시간 기준)이다.

이날 회의에는 공익위원 9명, 사용자위원 9명, 근로자위원 9명 등 전체 27명의 위원 중 근로자위원들이 불참했다. 공익·사용자 위원 중 소상공인 대표 2명은 퇴장하고 16명이 투표에 참여해 15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최저임금 의결을 위해서는 전체 위원 과반 투표에 참여자 과반의 찬성이 필요하다.

내년 최저임금 시급 6천30원·월급 126만원…8.1% 올라(종합) - 2

최저임금 인상으로 임금이 오르는 저임금 근로자는 260만명으로 추산된다.

2010년 이후 연도별 최저임금 인상률은 2.75%(2010년), 5.1%(2011년), 6.0%(2012년), 6.1%(2013년), 7.2%(2014년), 7.1%(2015년) 등이었다.

당초 노동계는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79.2% 오른 시급 1만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제시했고, 경영계는 동결을 주장했다.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최저임금 협상은 법정 타결 기한인 지난달 29일을 넘겼다.

이달 3일 열린 회의에서는 근로자위원들이 8천400원, 사용자위원들이 5천610원을 수정안으로 제시했다. 8일 회의에서는 2차 수정안(8천200원·5천645원)에 이어 각각 8천100원, 5천715원의 3차 수정안을 내놓았다.

양측은 더 이상 차이를 좁히지 못해 공익위원들이 심의촉진구간 5천940∼6천120원을 제시했으나 근로자위원들이 이에 반발해 11차 회의에서 퇴장한 데 이어 이날 12차 회의까지 불참했다. 결국, 심의촉진구간의 중간인 6천30원으로 확정됐다.

최저임금위원회 박준성 위원장은 "올해 인상분 8.1%는 내년도 협약임금 인상률, 노동연구원 임금인상 전망치, 소득분배 개선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내년 최저임금 시간당 6천30원…8.1% 인상
내년 최저임금 시간당 6천30원…8.1% 인상

[앵커] 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6천 30원으로 결정돼 6천 원을 넘어섰습니다. 올해보다 450원, 8%가 넘게 오르게 됐는데 결정 과정에서 진통이 적지 않았습니다. 이재동 기자입니다. [기자] 내년도 시간당 최저임금은 올해보다 450원 오른 6천 30원. 인상 폭은 8.1%로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습니다. 최저임금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126만 270원으로 올해보다 9만 4천여 원 높아집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어제 저녁부터 회의를 시작해 오늘 자정을 넘겨 이 같은 최저임금 인상안을 최종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박준성 /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 "현 정부의 최저임금 정책 중의 중요한 구조가 임금소득 격차 해소가 있고…그런 것을 반영해서…" 의결 과정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시급 1만원 인상안을 주장한 노동계와 동결을 제시한 경영계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법정 타결 기한을 열흘이나 넘겼습니다. 근로자 위원들이 결국 최종 회의에 불참한 가운데 표결을 앞두고는 소상공인 대표 2명 역시 퇴장했습니다. <최승재 / 소상공인연합회장> "소상공인들이 이 안에 대해서 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소상공인들은 마지막 표결에서 참여하지 않고 퇴장하게 된 것입니다." 이번 인상안을 두고 노동계와 경영계 양측 모두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오늘 의결된 내년도 최저임금 안은 노사 이의신청 등을 거쳐 고용노동부 장관이 다음 달 5일까지 최종 고시해야 합니다.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노동계는 내년 최저임금 인상안에 강하고 반발하고 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1만원으로의 인상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두자릿수 인상률을 기대했는데, 내년 인상폭은 기대에 턱없이 못 미친다"며 "저임금 노동자들의 절박한 생계난을 외면한 최저임금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노동계는 공익위원안에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고, 총파업 등 강력한 투쟁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경영계도 불만을 가지기는 마찬가지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메르스 확산, 그리스 사태 등으로 인한 중소·영세기업의 심각한 경영난을 외면한 결정"이라며 "과다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영세기업이나 자영업자의 도산과 신규채용 축소 등이 잇따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의결된 내년도 최저임금은 20일간 노사 이의제기 기간을 거쳐 고용노동부 장관이 8월 5일까지 확정, 고시한다.

ssahn@yna.co.kr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제보

핫뉴스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

    랭킹뉴스

    D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