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2조5천억 쏟은 새만금호, 물고기도 못 산다

박용근 기자

올해 중간지점 수질도 ‘6급수’ 최악… 죽음의 호수로

환경단체 “담수화 땐 더 악화, 해수유통 계획 변경을”

전북 새만금호 수질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정부가 수질을 개선하겠다며 지난 15년간 2조5000억원 이상을 퍼부었지만 효과는 없다. 새만금호에 바닷물을 끌어들여 물을 정화하자는 ‘해수유통’ 주장이 다시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전북녹색연합은 새만금환경청이 실시한 새만금호 수질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올 1월부터 5월까지 새만금호의 중간지점 수질이 6급수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새만금호 중간지점에서 조사한 수질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기준으로 10.88㎎/ℓ를 기록했다. 또 다른 중간지점에서도 11.96㎎/ℓ로 나타났다. 두 지점 모두 6급수(10㎎/ℓ 초과) 수질등급을 보였다. 두 지점의 6급수 이하 수질은 새만금방조제가 만들어지고 처음이다. 6등급은 물고기가 살 수 없을 정도로 물이 오염됐음을 뜻한다.

2조5천억 쏟은 새만금호, 물고기도 못 산다

수질 측정이 이뤄진 중간지점의 염도는 각각 13.2%와 19%로, 갑문을 통해 아직도 바닷물이 유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악의 수질을 보인 것이다. 이는 새만금호를 완전 담수화시킬 경우 수질이 더 악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새만금호 중간지점 외에 상·하류를 포함한 13개 전 지점의 수질 평균도 COD 기준으로 8.14㎎/ℓ를 기록해 5급수로 나타났다. 새만금호 전체의 수질 평균이 5급수 이하로 악화된 것도 처음 있는 일이다.

환경부는 이달까지 수질 중간평가를 실시해 10월 새만금위원회에서 담수화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수질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면 담수화 후 죽음의 호수로 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정부는 애초 새만금호의 담수화를 통해 상류는 4급수, 하류는 3급수의 수질을 달성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사실상 실패했다. 새만금호 유입천인 만경강과 동진강 상·중류의 오염원이 여전히 제거되지 않고 있는 탓이다.

전북녹색연합 한승우 사무국장은 “정부가 담수화계획은 새만금 사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해수유통으로 수질관리계획을 변경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상류 수질은 개선되고 있으나 방수제 공사에 노출 부지가 드러나면서 물 흐름이 정체돼 수질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공사가 종료되면 상류 수질 개선효과가 새만금호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Today`s HOT
칠레에서 벌어진 현 연금 제도 항의 시위 교육과 연구 예산 삭감에 대한 반대 시위 계속되는 토네이도로 초토화된 켄터키주와 테네시주 인도네시아의 미얀마를 향한 지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서거 20주년 미사 이스라엘의 공습을 받는 레바논 항구 도시 시돈
절실히 기도하는 인도령 카슈미르 무슬림들 광장까지 봉쇄, 차량 화재 현장
형형색색 만개한 네덜란드 꽃밭 캐나다-미국 교차로에서 벌어진 관세 정책 시위 지진에 대피하여 음식을 배급 받는 만달레이 현장 고층 건물에서 구조된 개를 보며 웃는 대원
이스라엘의 공습을 받는 레바논 항구 도시 시돈
이스라엘의 공습을 받는 레바논 항구 도시 시돈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