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2.6% “메르스 병원-지역 공개하라”…30대 연령 공개 요구 의견↑ ‘91.3%’

  • 동아닷컴
  • 입력 2015년 6월 3일 15시 21분


코멘트
(보건복지부 메르스 예방법)
(보건복지부 메르스 예방법)
국민 82.6% “메르스 병원-지역 공개하라”…30대 연령 공개 요구 의견↑ ‘91.3%’

메르스감염자 발생 지역과 병원 공개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여론조사 전문 업체 리얼미터에 따르면 전날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메르스 감염 지역·병원 공개 여부를 묻는 긴급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국민이 대비할 수 있도록 병원과 지역을 공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82.6%로 ‘과도한 불안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공개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견(13.4%)보다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잘 모름’은 4.0%.

지역별로 살펴보면 모든 지역에서 ‘공개’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전·충청·세종(공개 86.1% vs 비공개 10.4%)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 대구·경북(85.1% vs 9.0%), 경기·인천(84.4% vs 14.1%), 서울(81.0% vs 12.3%), 광주·전라(80.7% vs 16.4%), 부산·경남·울산(76.9% vs 19.1%)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도 모든 연령층에서 ‘공개’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는데, 30대(공개 91.3% vs 비공개 5.8%), 40대(88.0% vs 12.0%), 20대(85.0% vs 10.2%), 50대(77.0% vs 16.6%), 60대 이상(72.5% vs 21.5%)의 순으로 ‘공개’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이 같은 국민의 뜻과는 달리 정부는 비공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메르스 관련 관계부처 장관회의 결과 및 향후대책’에서 “병원 이름을 공개하기 보다는 확진환자 조회시스템을 통해 병원끼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며 일반 공개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권준욱 중앙 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도 “의료기관의 이름을 전체적으로 공개할 경우 해당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나 이용한 분들이 불필요하게 오해를 받게 되거나 과도한 불안감이 조성될 것”이라는 이유로 공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고, 응답률은 5.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한편, 보건당국이 메르스 발병 지역과 접촉 병원의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는 가운데, KTX 역에 메르스 환자 접촉 병원 명단을 공개한 안내문이 붙어 논란이 일고 있다.

2일 오후 오송역사 알림판(벽보)에는 '메르스 예방지침' 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붙었다. 게시물 상단에는 코레일 공식 로고가 있다.

안내문에는 '철저한 손소독이 최선, 되도록 자주할 것' , '버스, 지하철이나 사람이 많은 장소는 방역 마스크 착용' 등의 예방수칙이 담겼다. 이와 함께 "해당 지역이나 병원 방문은 당분간 자제 해달라"는 문구아래 메르스 최초 발생지역 2곳 - 환자들이 다녀간 병원 11곳의 명단도 실려 있다.

안내문은 이날 오후 9시께 철거됐다. 오송역은 정부세종청사에 인근에 위치한 KTX 핵심 거점으로 수도권 등에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이 빈번하게 이용하는 곳이다.

이에 대해 코레일은 본사 차원에서 메르스 안내문을 배포하지 않았다며, 자세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메르스 병원. 사진=메르스 병원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