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송전선로 공사 3년만에 재개
[한겨레] 한전, 12일 군산 미성동 등서 시작
애초 노선 강행…주민들 봉쇄시도
주민들의 반대로 공사를 중단했던 새만금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3년 만에 재개돼 주민과의 충돌이 우려된다.
한국전력공사는 12일 "전북 군산에 전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새벽 5시부터 아침 8시 사이에 군산시 미성동 5곳, 옥구읍 1곳 등 6곳에서 새만금 송전선로 철탑을 세우기 위한 공사를 다시 시작했다"고 밝혔다. 반대 주민들이 이날 공사 현장을 막으며 저항했으나 큰 충돌은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
새만금 송전선로는 새만금 산업단지 전력 공급을 위해 군산변전소(임피면)~새만금변전소(미성동) 구간(30.6㎞)에 345㎸급 송전탑 88기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군산시와 한국전력은 2008년 12월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임피·대야·회현면 14.3㎞ 구간에 송전탑 42기를 설치했지만, 나머지 회현면·옥구읍·미성동 구간 송전탑 46기는 주민들의 반발로 2012년 4월 공사를 중단했다.
주민들은 농경지를 우회하는 대안노선(만경강 방수제~남북2축도로)을 주장하며 종전 한전 쪽 노선을 반대했다. 추가비용 부담을 주장한 한전과 반대 주민 간 마찰을 빚다가 2013년 12월 국민권익위원회의 중재로 조정안이 마련됐다. 조정안은 "송전탑 높이를 최저인 39.4m로 하고, 계기 운항 때 전자파 방해 여부 등을 미국 공군에 질의해 그 결과를 양쪽이 받아들인다"는 내용이다. 미군 쪽은 자체 조사 결과를 근거로 주민의 대안노선에 반대했고, 주민들은 '미군들의 조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이었으나, 권익위는 의혹에 대한 해명이 이뤄졌다고 지난해 11월 밝혀, 사업이 원점으로 다시 돌아갔다. 한전은 주민들이 내세우는 대안노선을 채택하면 송전선로가 6년 뒤인 2021년 이후에나 완성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주민반대대책위 강경식 간사는 "주민들이 온몸으로 공사를 막겠다는 입장이지만 극한상황 발생이 우려돼 단식투쟁도 병행할 방침이다. 한전 쪽이 40곳 마을과 이미 협의를 끝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송전탑 피해와 직접 상관이 없는 마을들이다. 주민들은 계속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새정치, 내년 총선 '참패'가 전망되는 '5가지 이유'■ 박 대통령 "하~, 이것만 생각하면 한숨이…"■ 홍준표, 치열한 알리바이 수싸움…그러나 결정적 '버그' 3가지■ [카드뉴스] 채널A 기자들 "더는 못 참겠다", 왜?■ [화보] 여기에 오줌을? 세계의 신기한 소변기들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