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송전선로 건설사업 3년만에 재개.. 주민 반발
2012년 주민들의 반대로 공사가 중단됐던 새만금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3년여 만인 12일 재개됐다. 하지만 여전히 사업에 부정적인 주민들이 공사를 막겠다며 반발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한국전력공사는 이날 오전 5시를 기해 전북 군산시 미성동과 옥구읍 등 6개 현장에 장비와 인력을 투입해 새만금 송전선로 공사를 재개했다.
한전은 현재 군산지역의 전력상황을 고려할 때 더 이상 공사를 중지할 수 없는데다 공사가 중지된 옥구읍과 미성동 선로 경과지역의 45개 마을 중 40개 마을과 협의를 끝냄에 따라 공사 재개 방침을 세웠다.
새만금 송전선로는 새만금 산업단지 전력공급을 위해 임피변전소∼새만금변전소 구간(30.6㎞)에 345㎸급 송전탑 88기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군산시와 한국전력은 2008년 12월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임피·대야·회현면 14.3㎞ 구간에 송전탑 42기를 설치했지만, 나머지 회현면·옥구읍·미성동 구간 송전탑 46기는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2012년 4월부터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건강권과 재산권을 내세운 주민들은 농경지를 우회하는 대안노선(만경강 방수제∼남북2축도로)을 주장하며 마찰을 빚었다. 2013년 국민권익위원회의 중재로 '인근 공군비행장을 운용하는 주한미군이 송전탑 높이를 39.4m까지 낮추는 데 동의하면 한전은 우회노선을 건설한다'는 조정안이 마련됐다. 하지만 주한미군이 대안노선 불가 입장을 회신하고 주민들은 조정안 파기를 선언해 사업은 원점으로 돌아갔다.
한전 관계자는 "현재 군산지역은 154㎸ 송전선로 2개 루트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나 전력계통이 매우 취약해 송전선로 건설이 시급하다"며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해 공사를 중단했으나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공사를 재개했다"고 말했다. 한전은 주민들과 마찰이 예상되는 만큼 투입 인원과 장비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반해 주민대책위 관계자는 "국회의원의 주도로 한전과 주민이 참여하는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을 논의하는 시점에서 공사를 재개한 것은 주민 의사를 무시한 처사"라며 "현장에서 몸으로 막아내고 단식투쟁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주민은 이날 미성동 현장에 나와 공사를 중지하라고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군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현수 '러시아 귀화 방해공작' 폭로에 논란 재점화.. "누구야? 찾아내!"
- [친절한 쿡기자] 국가로부터 버림받은 안현수, 재도약에는 연인의 사랑 있어
- "이건 '살려줘'라는 비명이야" 잔혹동시 해외 네티즌도 충격
- "좌파·친북 단체가 문제" 이대학보 세월호 칼럼 파장
- [영상] 접촉사고에 이렇게 놀라운 반전이..신통방통한 사기꾼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
- “태아 살리는 일은 모두의 몫, 생명 존중 문화부터”
- ‘2024 설 가정예배’ 키워드는 ‘믿음의 가정과 감사’
- 내년 의대 정원 2천명 늘린다…27년 만에 이뤄진 증원
- “엄마, 설은 혼자 쇠세요”… 해외여행 100만명 우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