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사관 앞 수요 집회서도 비판 이어져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국 상하원 합동 연설을 앞둔 29일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관계자들이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베 美의회 연설은 반인권 행위"라며 규탄하고 있다. 2015.4.29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국 상하원 합동 연설을 앞두고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이 "통탄을 금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는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국정부가 제2차 세계대전 전범국인 일본의 만행을 미화하고 있는 아베를 미국 의회에 세워 연설을 하게 한 것은 인권을 사랑하는 세계인을 배신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일본 정부와 아베 총리는 전후 70년이 됐음에도 반성과 사죄 없이 제1급 전범자를 추앙하고 전쟁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오히려 정당성 확보를 위한 역사왜곡을 하는 아베 총리를 어떻게 의회에 세울 수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이들은 "미국 정부는 미국 의회 연설로 과거의 만행을 미화하고 정당화하려는 아베 정권을 저지해야 한다"며 "일본의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거짓말에 또다시 희생자들이 고통받을 수는 없다"고 호소했다.
이 단체는 한국인 희생자에 대한 아키히토 일왕의 직접 사과와 함께 전후 개인보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8월10일까지 제시하라고 일본에 요구했다.

비 오는 날의 수요집회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9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일본의 사죄를 촉구하는 메시지가 담긴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15.4.29
pdj6635@yna.co.kr
아울러 미국 정부에도, 일본 정부에 강제동원 피해자와 일본군 위안부 등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서한을 발송할 것과 일본 정부로부터 받은 답변을 유족회로 보내줄 것을 요구했다.
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이날 회견에는 소복을 입은 회원 60여명이 자리했다. 회견 후 양순임 유족회장과 회원 김종만(97)씨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서한문을 미국 대사관에 전달했다.
이날 낮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1천176차 수요집회에서도 아베 총리의 연설 계획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길원옥 할머니와 시민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빗속 집회를 열고 "아베 총리는 연설에서 식민지배와 일본군성노예 등 전쟁범죄 책임을 공식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정대협은 "일본은 전쟁 책임을 청산하고 평화의 첫걸음을 내딛어야 할 전후70년이라는 중대한 시점에 오히려 미국 의회 연단에 서는 특권을 받게 됐으니 기막힐 노릇"이라고 비난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미 의회가 아베 총리에게 연설 기회를 주는 것은 면죄부를 주는 것과 같다"며 "2007년 미국 의회가 만장일치로 채택한 일본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죄촉구 결의안이 '종이쪽지'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우려했다.
s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15년04월29일 14시25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