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 4자 정상회담, 평화안 도출 안간힘

입력:2015-02-11 16:41
공유하기
글자 크기 조정
우크라이나 사태 4자 정상회담, 평화안 도출 안간힘 기사의 사진
AFPBBNews=News1
우크라이나 사태 4자 정상회담, 평화안 도출 안간힘 기사의 사진
AFPBBNews=News1
우크라이나 사태 4자 정상회담, 평화안 도출 안간힘 기사의 사진
AFPBBNews=News1
러시아, 우크라이나, 프랑스, 영국 등 4개국이 11일(이하 현지시간)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정상회담을 개최하면서 1년 가까이 끌어온 유혈 사태가 종반전으로 향해 치닫고 있다.

회담에는 분쟁 당사자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물론, 중재자 역할의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이 참석했다. 이들은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의 정부군과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 간의 휴전 및 평화협정 체결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4개국 정상은 현재 교전이 벌어지고 있는 동부 지역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에 비무장지대를 설정하고 친러 세력이 많이 살고 있는 이들 두 지역에 더욱 광범위한 자치권을 허용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았다. 이는 현재 전선을 중심으로 50∼70㎞ 구역을 비무장지대로 묶어 중화기를 철수하고 동부의 자치권 확대로 추가 무력충돌을 막자는 취지다.

또 현재 친러 세력이 ‘자체 공화국’을 선포한 동부 지역의 지위 확정 문제는 상당 기간 유예하는 쪽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우크라이나도 그동안 러시아가 반대해온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가입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에 앞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0일 푸틴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우크라이나 평화협정에 러시아가 합의해 줄 것을 종용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통화에서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지지하며 우크라니아가 향후에도 단일 영토로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특히 “러시아가 공격적 행동을 계속하고 군대와 무기, 자금을 동원해 반군을 돕는다면 앞으로 치러야 할 대가가 점점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포로셴코 대통령과도 통화해 평화협정 체결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국제 중재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완전히 종식될지는 의문이다. 정부군과 반군은 지난해 9월에도 휴전에 합의했지만 양측의 불신의 골이 메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불과 며칠 만에 교전이 재개돼 지금까지 유혈 사태가 이어졌다.

특히 평화협정 체결이 임박해졌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은 더욱 격화됐다. 특히 4자 회담 수시간 전인 이날 아침 도네츠크의 한 버스 정류장에 박격포탄이 떨어져 시민 4명이 숨지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는 러시아가 지난해 3월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병합한데 이어 4월에는 도네츠크주 친러 세력이 중앙정부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부터 내전 양상으로 치달아왔다. 정부군과 반군의 교전으로 지금까지 5400여명이 숨지고 1만3000여명이 부상했다.

미국과 유럽은 사태의 책임을 러시아에 물어 그동안 강력한 경제제재를 취해왔으며, 러시아는 이에 반발해 우크라이나 반군에 대한 무기지원을 확대하고 서방사회에 대한 에너지 및 곡물가 인상 등의 조치로 맞서왔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클릭! 기사는 어떠셨나요?
많이 본 기사
국민일보가 꼼꼼히 읽어보고 선정한
오늘의 추천기사
국민일보 신문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