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靑 개편·소폭 개각 천명 의미는?

남상훈 기자 2015. 1. 20. 19: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지율 추락·민심 이반에 위기감.. '우회로'로 정국 돌파될까

박근혜 대통령이 20일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 문건 파문에 따른 국정위기 타개책으로 청와대 시스템 개편과 소폭 개각을 조속히 단행하겠다고 밝힌 것은 최저 지지율 기록 등 민심 이반이 심각해 집권 3년차 정국구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청와대와 정부의 전면적 인적쇄신을 요구하는 여론을 수용하지 않고 소극적 대응의 '우회로'를 택한 것이어서 난국 돌파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점쳐진다.

취임후 첫 티타임박근혜 대통령이 20일 오전 청와대 본관 세종실에서 국무회의에 앞서 정홍원 국무총리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민구 국방부 장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부터) 등 국무위원과 함께 취임 후 첫 티타임을 갖고 환담하고 있다.허정호 기자

◆여당, 靑 인적쇄신 촉구

인적쇄신과 관련해 민심과 동떨어진 박 대통령의 인식은 신년 기자회견 때와 달라진 것이 없다는 지적이다. 관건인 '문고리 권력' 3인방(이재만 총무·정호성 1부속·안봉근 2부속 비서관)의 존재를 그대로 놔둔 채 1·2 부속실을 합쳐 이들의 업무를 조정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이 비서관은 인사위원회에서 빠지고 안, 정 비서관 중 한 명도 다른 업무를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책실을 신설하거나 경제수석이 정책팀장을 겸임하는 방안, 문건 및 항명 파문에 휘말린 민정수석실의 기능 재편 방안도 추진할 것으로 점쳐진다. 또 정무·홍보 특보단이 신설될 예정이다.

세월호 참사 책임론에 휩싸인 정홍원 국무총리를 교체하지 않고 소폭으로 개각을 하겠다는 것도 예고했다. 개각 폭이 커지면 국회 인사청문회 부담도 그만큼 커진다는 판단에서다.

새누리당에서는 박 대통령이 경직적 태도에서 벗어나 과감한 수습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윤회 문건 파문,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 항명 파동, 박 대통령의 '불통' 기자회견, 음종환 전 행정관의 문건유출 배후설, 연말정산 세금폭탄 논란까지 겹쳐 국민의 불만이 갈수록 고조되면서 여권 전체의 공멸 위기가 팽배해지고 있어서다.

친이(친이명박)계 한 의원은 이날 "지금 13월의 세금폭탄에 대한 반발은 거의 '민란' 수준"이라며 "박 대통령이 인적쇄신 등을 통해 조기에 수습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친박(친박근혜)계 중진 의원도 "여론 악화를 막기 위해 박 대통령이 대폭적인 인적쇄신 등 통 큰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靑, 10여분간 티타임 이례적 공개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시작 전에 국무위원들과 취임 후 처음으로 가진 티타임을 이례적으로 공개했다. 국무위원의 대면보고를 받지 않는 등 박 대통령의 불통 이미지를 불식하기 위한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연말정산과 금연을 주제로 국무위원과 10여분간 담소를 나눴다. 박 대통령은 연말정산 대책을 발표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오늘 (회견을) 잘하셨어요"라고 물었다. 최 장관은 "여러 가지 혼란이 있었는데 제가 설명을 잘 드렸다"고 자평했다. 박 대통령은 "(국민의) 이해가 잘되는 게 중요하다"고 최 부총리에게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최 부총리와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이 새해 들어 담배를 끊었다는 이야기를 전해듣고서 "작심삼일을 극복하는 길은 삼일마다 결심을 하면 된다고 한다", "나 끊었다고 동네방네 소문을 많이 내면, 차마 할 수가 없지 않나. 그것도 방법이다. 얼마나 눈물 겨운 얘기인가" 등 농담을 건넸다.

박 대통령은 사회 적폐와 관련해 "잘못된 것도 오래 하다 보면 편하니까, 나쁜 것이라도 으레 그렇게 하는 것 아니겠냐 하고 빠져드는데 그러다가는 사회가 썩는다"며 "그러면 개혁을 하려 해도 저항도 나오게 되고, 여태까지 편했던 것을 왜 귀찮게 하느냐, 난리가 나는 그런 게 일종의 금단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남상훈·김채연 기자 nsh21@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