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픽하이가 보여준 힙합 대세

박경은 기자 2014. 11. 4. 21: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집 앨범 수록곡 주요 음원 차트서 고루 사랑..이젠, 힙합이 가요계를 접수

마니아 장르로 여겨졌던 힙합이 가요계를 점령했다. 음원 차트와 방송은 래퍼들의 무대가 됐다. 래퍼와 보컬이 짝을 이룬 노래 아니고선 웬만하면 명함도 못 내밀 정도다. 바야흐로 힙합의 시대다.

3인조 힙합팀 에픽하이(타블로, 투컷, 미쓰라)는 이를 극명히 보여준다. 지난달 이들이 내놓은 8집 앨범 <신발장>에 수록된 12곡은 주요 차트에서 고루 사랑을 받고 있다.

타이틀곡 '헤픈 엔딩'은 2주째 주간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고 '본헤이터'는 19금 곡임에도 정상권을 달린다. 심지어 이 중 6곡은 방송 불가 판정까지 받았다. 최근 서울 합정동 YG엔터테인먼트 사옥에서 만난 이들은 "이 상황이 말이 되는 건지 모르겠다"면서 어리둥절해 했다. 투컷은 "마니아층에만 어필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세상이 이렇게도 변할 수 있나 싶더라"고 말했다.

▲ 타블로 - '타진요' 사건으로 한때 힘들었는데 이리 다 웃으니 다행▲ 미쓰라 - 인터뷰 내내 그는 한마디도 안 해▲ 투컷 - 마니아층에만 어필할 줄 알았는데 세상이 이렇게도 변해

'타진요 사건'으로 뒤척였던 시간과 이를 딛고 일어서는 과정을 그린 것이 2년 전 발표한 7집이었다면, 이번 앨범은 이들이 예전의 유쾌함과 재기발랄함을 되찾고 제자리에 섰음을 알린다. 에픽하이의 오랜 팬들이 '귀환'이라고 반기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랩의 가사는 뾰족뾰족하고 직설적이다. 특유의 빈정거림과 자의식이 넘치고 예술적인 경지의 '펀치라인'(일종의 언어유희로 동음이의어를 사용해 중의적으로 표현하는 가사)도 살아있다. 버벌진트, 빈지노, B.I, 바비 등 강한 캐릭터를 가진 래퍼들을 모아 함께 만든 '본헤이터'에서 타블로는 타진요를 향해 "귀엽고 딱하다"고 할 만큼 여유도 되찾았다.

타이틀곡 '롤러코스터'는 강한 '팬심' 덕에 나왔다. "저희 모두 롤러코스터 광팬이에요. 조원선씨 목소리를 무척 좋아하는데 롤러코스터 새 앨범이 오랫동안 안 나오다 보니 이참에 우리가 앨범을 만들겠다고 한 거죠. 원선 누나가 '노' 했으면 아마 못 실렸을 곡이에요."(타블로)

강한 비트와 격렬한 랩이 인상적인 '부르즈할리파'도 마니아들의 사랑을 받는다. "곡 제목이 왜 '부르즈할리파'인가"라는 질문에 투컷은 "내가 지금까지 타블로와 나눈 이야기 중 가장 어이없는 상황이었다"고 대답했다. "타블로가 갑자기 부르즈할리파 어떠냐고 물어봐요. 그래서 이 노래랑 뭔 상관이냐고 했더니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잖아' 이래요. 이게 다였어요."

앨범 제목 '신발장'에 대해 작은 이별과 만남이 반복되는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붙였다는 것이 투컷의 설명이다. 앨범 전체 분위기와는 좀 맞지 않는 것 같다고 하자 타블로는 눈을 동그랗게 뜨며 "그렇죠? 원래는 '문제작'으로 붙이려 했는데 투컷이 절대 안된대요"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타진요 사건'이 종결된 지는 이제 2년이 다 돼간다. 타블로는 당시 소속사였던 울림엔터테인먼트에서 나왔고 이렇다 할 보호막도 없이 혼자서 모진 싸움을 버텨내야 했다. "인피니트가 그때 막 데뷔하려던 참이었어요. 제가 인피니트 프로듀서를 맡고 있었는데 그대로 있다간 이제 막 걸음마를 떼는 후배들에게 피해가 갈 것 같아 떠날 수밖에 없었죠. 당시엔 어느 누구도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어요. 그래도 시간이 지나고 난 뒤 이렇게 다 웃고 있는 게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올해로 데뷔 11년째를 맞는 이들은 오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5년 만에 단독콘서트를 연다.

"11년 동안 함께하면서 징글징글한 적도, 끝장내고 싶던 적도 많았죠. 그런데 지금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은 그래도 우리 중 누군가는 반드시 서로를 일으켜 세웠기 때문이에요. 두 명이 지쳐 있으면 한 명이 업고 뛰었고, 한 명이 나가떨어져 있으면 두 명이 다독였고. 우리가 세 명인 게 그래서 감사하고 행복해요."

<박경은 기자 ki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