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한국 남녀 임금격차 10년 넘게 OECD 1위



완독

경향신문

공유하기

닫기

보기 설정

닫기

글자 크기

컬러 모드

컬러 모드

닫기

본문 요약

닫기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본문과 함께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공 = 경향신문&NAVER MEDIA API)

내 뉴스플리에 저장

닫기

한국 남녀 임금격차 10년 넘게 OECD 1위

  • 비즈앤라이프팀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가 10년 넘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남녀 임금격차 수치는 시간이 갈수록 OECD 평균과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

4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은 최근 수치가 집계된 2012년 기준으로 11개 회원국 중 남녀 임금격차가 37.4%에 달해 1위를 차지했다.

남성 근로자의 임금이 100일 때 여성 근로자 임금은 그보다 37.4% 낮은 62.6에 그친다는 이야기다. 한국 다음으로 일본 26.5%, 미국 19.1%, 캐나다 18.8%, 영국 17.8%, 슬로바키아 16.0%, 체코 15.1%, 호주 13.8%, 헝가리 11.3%, 노르웨이 6.4%, 뉴질랜드 6.2% 등이다. 나머지 23개 회원국은 아직 수치가 집계되지 않았다.

한국은 OECD의 남녀 임금격차 통계가 있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13년간 부동의 1위에 올랐다. 이 수치는 2000년 40.4%에 달했고 이후 소폭의 하락세를 보여 2012년 37.4%까지 내려갔다.

한국 남녀 임금격차 10년 넘게 OECD 1위

그러나 13년간 겨우 3.0%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쳐 다른 회원국들과 대조를 보였다. 2위인 일본만 하더라도 2000년 33.9%에서 2012년 26.5%로 7.4%포인트 줄었고 영국은 같은 기간에 26.3%에서 17.8%로 8.5%포인트가 내려갔다.

OECD 평균을 봐도 2000년 19.2%에서 2011년 14.8%로 4.4%포인트 줄어드는 동안 한국은 40.4%에서 37.5%로 2.9%포인트 줄어 OECD 평균과 격차가 더 벌어졌다. 한국의 남녀 임금격차는 2000년 OECD 평균의 2.1배였는데 2011년에는 2.5배가 됐다.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지난해 남성의 월급여액이 평균 266만4000원인 반면 여성은 남성 대비 64% 수준인 170만5000원에 그쳤다.

남성은 같은 성별 안에서도 소득 수준에 따른 격차가 여성보다 큰 편이다. 남성은 2012년 소득 하위 10% 임금 근로소득 대비 상위 10%의 배율이 4.53배였지만 여성은 3.76배였다.

지난해 국내 대표기업인 삼성전자 남자 직원의 1인당 평균 급여는 1억1200만원이고 여성은 남성의 65.2% 수준인 7300만원이었다. 현대자동차는 여성 직원의 1인당 평균 급여가 7800만원으로 남성(9500만원)의 82.1% 수준이었다.

  • AD
  • AD
  • AD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