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저출산으로 22년만에 최대 구인난"

신정원 입력 2014. 7. 28. 06:03 수정 2014. 7. 28. 06: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기근속·숙련인력 vs 비정규직으로 대체"

【서울=뉴시스】신정원 기자 = 일본이 저출산 고령화 심화로 22년 만에 최대 구인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베노믹스로 경기가 회복되면서 인력 수요는 증가한 반면, 인력 수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해 1992년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을 보인 것.

2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일본 저출산 재앙이 인력부족으로 현실화, 기업의 대응책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월 일본의 유효구인배율은 1.09배로 7개월째 1.0배를 웃돌고 있다. 기업이 원하는 인력이 10명이라면 일자리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11명이 되는 셈이다.

인력부족 현상은 1990년대부터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탓이다.

생산가능인구(14~65세)는 총인구의 69.5%에 달하는 8726만명이던 1995년 정점을 찍었다. 이후 점차 줄어들어 지난해 7900만명으로 처음으로 8000만명 선이 무너졌고 총인구 대비 비율도 62.0% 수준으로 떨어졌다.

최근 기업의 인력 수요가 증가한 것도 구인난을 심화시키고 있다. 20년간 장기불황으로 드러나지 않던 인력 수급 문제가 아베노믹스 이후 경기가 회복되면서 곳곳에서 표출되고 있다. 실제 오사카 소재 기업 10곳 중 9곳은 인력 부족으로 이미 사업에 차질이 생겼거나 향후 피해가 예상된다고 했다.

인력 부족 문제는 향후 인력쟁탈전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대처하는 일본 기업들의 전략은 저마다 다르다.

대부분의 기업은 경쟁적으로 비정규직을 채용하며 인건비 부담을 줄이려 하고 있다. 반면 유니클로, 세이유 등 일부 도소매 기업들은 경험이 풍부한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도 한다.

QB하우스(이미용), 오바야시구미(건설), 카오오(화학플랜트) 등은 입사 5년 미만의 젊은 직원을 대상으로 한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인력 부족 문제를 장기근속, 숙련 인력으로 해결한다는 전략이다.

박기임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 역시 저출산 고령화 심화로 머지않아 인력 부족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는 향후 10년 이내 산업 현장에서의 숙련단절을 막기 위한 중소기업 기능전수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jwshi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