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24시] 중국 종교정책 정상화되길
중국에선 신앙의 자유는 있으되 포교의 자유는 제한된다는 것은 아는 사람들은 다 아는 이야기다. 그런데 이젠 신앙의 자유마저 없앨 태세다. 최근 중국 신장웨이우얼 지역에서는 모슬렘 공무원, 학생, 교사들이 이슬람 최대 행사인 라마단 기간 금식을 하려는 것까지 중앙정부에서 막았다.
이뿐 아니다. 중국은 최근에 저장성 교회와 십자가를 강제 철거했다. 동방의 예루살렘으로 불리는 저장성 원저우시는 인구 900만명 중 15%가 기독교 신자다. 중국 정부는 신장웨이우얼 지역을 중심으로 한 모슬렘 테러리스트에 대한 단속을 내세우며 종교 탄압을 정당화하려는 모양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얼마 전 한국을 국빈 방문하기 전 신장웨이우얼 테러로 인명피해가 잇따르자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현상금까지 걸었다. 하지만 이런 탄압은 중국이 원하는 것을 얻는 데 도움이 안 된다.
무엇보다 공안정치와 억압정치는 시 주석이 주장하는 '하나 되는 중국의 꿈'과 완벽하게 배치된다. 종교 탄압은 테러와 무관한 종교인을 자극하고, 부메랑으로 돌아와 중국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할 것이다. 인도적 관점에서 테러는 마땅히 근절돼야 하지만 테러를 다스리는 지금의 접근 방식은 명분이 없다. 기독교인들이 공산주의 체제를 위협한다는 인식도 허황되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종교활동은 포용해야 현명하다.
볼테르의 유명한 말인 "나는 당신의 말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그 말을 할 권리를 지키기 위해 죽을 때까지 싸울 것이다"를 종교에 대입해보면 "나는 당신의 종교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당신이 믿음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죽을 때까지 싸울 것이다"가 될 것이다.
시진핑정부가 함께 번영하자는 '중국의 꿈'을 실천하려면 종교의 자유부터 말하는 게 순리다. 중국이 종교의 자유라는 인류 보편의 기본권을 존중하는 국가인가라는 문제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해야 하는 한국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상황 인식의 근거가 될 것이다.
[국제부 = 서유진 기자 genuine@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