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사단법인 오픈넷, 언론개혁시민연대, 진보네트워크센터, 함께하는시민행동 등 5개 시민·사회단체가 30일 MBC의 저작권 보호 시스템인 ‘콘키퍼’의 사용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 ‘콘키퍼’가 이용자 개인정보를 무단 수집하는 악성코드 성격이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iMBC 측은 해당 프로그램은 저작권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의 검정을 거친 문제가 없는 프로그램이라고 밝혔다. iMBC 측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iMBC와 MBC 콘텐츠를 유통하는 웹하드 업체 간 재계약이 이루어지는 시점이고, 이 과정에서 MBC가 ‘콘키퍼’ 이용을 조건으로 내세운 것으로 알려져 이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MBC의 ‘콘키퍼’는 지난 1월 이미 한 차례 논란이 된 바 있다. MBC가 자사 콘텐츠를 유통하는 웹하드 업체에 이 프로그램을 쓰라고 권유했는데, 웹하드 업체들이 당시 이 프로그램이 필터링 기능 외에 모니터링 기능까지 포함하고 있어 개인정보를 무단 수집할 수 있다며 반발해왔다.

   
▲ 여의도 MBC 사옥
 
이에 5개 시민·사회단체들은 30일 성명을 통해 “(무단 개인정보 수집)의혹은 사실인 것으로 보이며 갈수록 점입가경”이라며 “iMBC는 콘키퍼가 이용자 동의를 받으면 합법이란 주장으로 웹하드 업체에 배포를 강요하고 있는데 그렇게 되면 피해를 입는 것은 이용자들”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 프로그램이 설치되면) 사용자의 PC를 iMBC가 감시할 수 있다”며 “지난 3월 웹하드업체 모임인 디지털콘텐츠네트워크협회가 iMBC 등을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형사 고발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우리는 몇 개월 간 논란이 계속되는데도 불구하고 MBC에 태도변화가 전혀 없다는 사실에 경악한다”며 “MBC는 몇 년 전에도 파업 노동자들에게 ‘트로이컷’이라는 악성프로그램을 몰래 PC에 설치하여 구설수에 오른 바 있다. 악성코드 감시도 습관인 것인가”고 비판했다.

이들은 “이 프로그램은 삭제하더라도 웹하드 업로드·다운로드 프로그램 이용 시 자동 재설치 되며, 웹하드 사이트 이용을 중단했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작동된다”며 “프로그램이 수집하는 이용자 개인정보도 ID는 물론 IP주소도 있고 이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다운받는지, 결제는 어떤 방식으로 했는지 콘텐츠 이용내역도 모두 가져간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iMBC의 감시프로그램 배포 강요는, 시장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진 거대 방송사가 자사의 이익만을 위해서 온라인 서비스 이용자들을 모두 잠재적 범죄자로 간주하여 감시하는 것”이라며 “MBC에서 공영방송 정신은 도대체 어디로 사라졌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iMBC 측 관계자는 미디어오늘과의 통화에서 “1월에 문제제기 됐던 것은 ‘콘키퍼’가 성능평가 받지 않았다는 점과 개인정보를 침해한다는 점인데 그래서 우리가 저작권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에 의뢰해 성능평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방통위는 개인정보 침해 여부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만 설명했다고 iMBC 측은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디지털콘텐츠네트워크협회가 고소했다는데 우리는 고소장을 받지 못했다”며 “삭제해도 자동 재설치되는 것도 아니고 웹하드 사이트를 중단하면 작동동도 중지되며 IP주소는 암호화 돼서 들어온다”고 말했다. 이어 “저작권 보호를 위한 프로그램이지 iMBC가 개인정보를 수집할 이유가 없다”며 “일방의 주장으로 확대해석 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