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마 가려달라'고요? 왜 그래야 하나요

입력 2014. 3. 19. 12:09 수정 2014. 3. 19. 12: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 황소연 기자]

ⓒ 지하철 역사 내 에스컬레이터 라인 벽에 붙은 그림.

ⓒ 고함20

서울 지하철 2·4호선 환승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에스컬레이터 벽에는 '치마는 가려주세요'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그리고 치마를 입은 사람이 앞에 서 있고, 카메라를 든 사람이 뒤에서 마치 치마 속을 촬영하는 듯한 그림도 함께 있다.

치마를 입은 사람을 '몰카'(몰래 카메라) 범죄로부터 보호하려는 듯한 뉘앙스다. 문구의 의도는 언뜻 선해 보인다. 하지만, 마치 치마를 입으면 '알아서 조심해야 한다'는 공식이 자동 성립되는 것처럼 묘사돼 있다.

서울지하철이 걱정해야 할 정도로 치마는 위험한 옷차림일까.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아래에서 카메라로 촬영하는 사람들이 당국의 골칫거리이긴 한가 보다. 지하철 역사 내 '도촬' 범죄는 증가 추세에 놓여 있다. 몰래 카메라 성범죄 발생 건수는 2009년부터 807건(검거 인원 716명)에서 2010년 1134건(1051명), 2011년 1523건(1343명), 2012년 2400건(1816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 8월 말 기준으로는 2766건(1816명)의 몰래카메라 촬영 성범죄가 발생했다.

왜곡된 통념 집약된 '치마는 가려주세요'

그렇다고 몰래카메라 성범죄의 증가 수치가 치마를 가려야 하는 근거가 되지는 않는다. 에스컬레이터 벽 도식에 생략된 부분은 '당신의 치마 속을 누군가 촬영할 수 있으니 치마는 가려주세요' 정도가 아닐까.

이 대목에서 몰래카메라 범죄는 피해자가 미리 방지해야 하는, 예방이 필요한 성격의 것으로 변모한다. 성범죄 대처 방안과 관련해 피해자의 몸가짐이나 옷차림 및 태도 등을 지적하는 기존의 시선과 다르지 않다. 치마를 입은 이들 중 상당수는 이 문구를 보면 옷차림에 신경을 쓰게 되고, 치마를 가리지 않으면 안 될 것만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그러나 치마가 아니라 짧은 바지여도 마찬가지다. 앞에 선 사람이 치마보다 더 노출이 심한 수영복 등을 입고 있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문구는 치마를 입은 사람이 아니라, 카메라를 든 진짜 '범죄자'를 겨냥해야 옳다. 어떤 범죄가 사람들의 예방으로 극복된다면, 왜 지하철 역사 내 성범죄를 비롯한 각종 범죄는 왜 줄어들지 않는 것일까. 문구는 '타인의 신체를 촬영하는 것은 범죄입니다' '그런 곳에 쓰라고 있는 카메라가 아닙니다' 등으로 바꿔야 합당하다.

논란거리가 되지 말았어야 할 '치마 가리기'

백 번 양보해 범죄예방 차원에서 치마를 가린다고 해도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한다. '마치 뒤에서 올라가는 사람을 치한·변태·성범죄자 취급한다'는 사회적(?)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치마를 주로 입는 여성들에게 씌워지는 잣대 역시 문제가 된다. "아니, 저 사람은 치마를 입고도 가리질 않네, 경박해라"와 "아니, 왜 내가 뒤에 있는데 치마를 가려? 나를 치한으로 보는 거야 뭐야?" 등의 시선이 동시에 여성을 옭아맨다. 치마를 입은 사람들이 뒷모습을 가리는 것이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가리지 않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는 온라인에서 이미 오래된 논란 중 하나다. "나를 치한이나 변태·범죄자로 보는 기분"이라며 불쾌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앞에 가는 사람이 뒷사람을 치한 취급하는 듯한 말을 한다면 기분 나쁜 건 당연하고, 나아가 항의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말 치마를 가리는 게 뒷사람을 모욕하는 일일까. 대화도 아닌, 단지 행위만으로 '일면식 없는 사람들을 무안주는 일'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지 의문이다.

나 역시 이 도식을 보고 치마를 가려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곧 내 잘못도 아닌데 왜 치마를 가려야 하며, 더 나아가 '치마를 가리든 말든 무슨 상관인가'라고 생각했다. 둘 모두 개인의 선택이며, 모두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이 아니다. 애초에 '어그로'(짜증 나는 행위를 하는 상대방에게 위협수준을 높인다는 뜻의 인터넷 용어)가 되지 말아야 할 이야깃거리가 바로 '치마 가리기'다.

여성이 경험하는 이런 동시성은 에스컬레이터 벽에 붙은 문구와 다르지 않다. '치마 속을 촬영하는 것은 범죄지만, 일단 치마를 입은 사람이 나서서 가려야 한다'는 논리가 그렇다. 치마를 가리는 여성에 대한 왜곡된 시선은 '범죄는 스스로 예방해야 하지만 내 기분 나쁘지 않게 치마는 적당히 가려달라'는 어투의 연장선이다. 치마를 가리는 일도 어렵지만, 이 모순된 시각 속에서 행동을 결정해야 하는 과정은 더욱 어렵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고함20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하게 오마이뉴스를 이용하는 방법!☞ 오마이뉴스 공식 SNS [ 페이스북] [ 트위터]☞ 오마이뉴스 모바일 앱 [ 아이폰] [ 안드로이드]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