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조계 '쓴소리' 이정렬, 변호사 등록 거부당했다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변호사의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현저히 부적당하다고 인정되는 자에 해당 된다."
서울지방변호사회(회장 나승철)는 6일 이정렬 전 판사의 변호사등록 거부 배경을 이렇게 밝혔다.
서울변호사회는 "이정렬 신청인에 대해 변호사 자격등록 및 입회가 부당함을 만장일치로 결의했고, 이와 같은 의견을 관련 서류와 함께 대한변호사협회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변호사회는 이정렬 전 판사가 판사로 재직 시절 법원 내부 통신망에 '부러진 화살' 관련 심판 합의를 공개함으로써 법원조직법 제65조에 따른 직무상 의무를 위반하여 정직 6개월의 징계를 받은 사실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정렬 전 판사가 층간 소음 문제로 다툰 후 주차돼 있던 위층 거주자 소유의 차량을 부서지게 해 벌금 100만 원의 형사처벌을 받은 점도 변호사 등록 거부의 이유로 거론했다.
서울변호사회는 "징계처분과 형사처벌에 관한 사실관계를 추가로 소명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정렬 신청인은 끝내 이에 응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정렬 전 판사는 판사 재직 시절 법조계 내부에 대한 쓴소리를 공개적으로 밝혀서 관심을 모았던 인물이다. 보수 성향이 강한 법조계는 이정렬 전 판사의 행동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봤다.
이정렬 전 판사의 변호사 등록 거부 배경을 놓고 '괘씸죄'가 적용된 게 아니냐는 시선이 존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서울의 한 변호사는 "서울변호사회가 도덕성을 이유로 내세우고는 있지만 내부 비판 등으로 법원 쪽이 껄끄러워하는 인물이기 때문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정렬 전 판사는 서울변호사회가 변호사등록을 거부하면서 서울 쪽에 변호사 사무실을 내는 것은 어려워졌지만, 다른 지역에 변호사를 등록한 뒤 활동할 수 있는 길은 열려 있다.
한편, 서울변호사회는 이번 결정의 정당성을 강조하면서 이렇게 주장했다.
"앞으로도 서울변호사회에서는 공직 재직 중 물의를 일으키고도 변호사로 등록하고자 하는 사례를 철저히 차단해 국민 모두가 변호사에게 신뢰를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정렬 전 판사, 층간소음으로 다툰 이웃車 파손해 입건
- 선관위, 현직판사 'TV토론 방식' 문제제기에 '발끈'
- 강용구 박사, '키'는 노력으로 더 클 수 있다.
- '부러진 화살' 이정렬 판사 정직 6개월 중징계
- '부러진 화살' 이정렬 판사 오늘 징계 결정
- "56억 재산 마음대로 관리"…유진박, 친이모 횡령 혐의 고발 - 아시아경제
- "우리 집 침대 엄청 잘 맞지?"…일본 톱스타, 유부남과 메시지 '발칵' - 아시아경제
- 美 30대 여성, 의붓아들과 관계 후 "10점 만점에 7점" - 아시아경제
- "파블로프 개처럼 물소리만 들어도"…샤워하다 소변 누면 큰 일 - 아시아경제
- 김재섭 "이재명, 대통령되면 금강불괴…민주주의 붕괴 시작"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