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월드,처월드,하루족---시대변화 따라 바뀐 명절 풍속도

2014. 1. 29. 14: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날은 예로부터 모든 사람에게 풍성함과 기쁨을 주는 날이다. 아무리 살기 힘들고 고달퍼도 설날 만큼은 친지와 친구들이 함께 모여 덕담과 정을 나눴다. 하지만 시대변화 속에 예정의 정겨운 설날 풍경은 빛바랜 추억이 되고 있다. 편리함을 ?은 현재 세태와 여성들의 사회 활동 확대 및 지위상승,정보기술(IT)산업 발달,핵가족화 등으로 명절에 새 풍속도가 형성되고 있는 것.

최근의 명절 세태를 빚대는 '시월드(시댁)', '처월드(처가)', '하루족(명절을 고향집에서 하루 머뭄)' 등의 신조어가 속속 등장할 정도고 귀성 분위기도 확연히 달라지고 있다.

"요즘엔 명절이 돼도 과거처럼 명절 분위기를 전혀 느낄 수 없다"는 어느 직장인의 말이 이를 대변한다.

■'시월드-처월드' 시대

29일 시민과 직장인들에 따르면 서울 마포구에 사는 전업주부 A씨(32)는 수 년전부터 설은 서울에 있는 시댁에서, 추석은 지방에 있는 친정에서 보내고 있다. 길지 않은 연휴에 서울과 지방을 오가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시부모님과 친정 부모님이 모두 이해해 준 덕분에 남들과 다른 명절을 보내고 있다.

부산이 처가인 직장인 전모씨(40)는 올해 설에는 처가를 먼저 찾기로 했다.지난해 설에 경기 의정부의 본가에서 차례를 지낸 후 같은 날 오후 부산 처가에 가기 위해 우등버스에 올랐지만 고속도로를 타는 데만 3시간 넘게 걸렸다. 자정을 넘겨 부산에 도착한 탓에 이용한 택시에 심야 할증료까지 부담해야 했다. 택시비는 서울~부산 버스비 만큼 나왔다.

이에 전 씨는 이번 설에는 반대로 하기로 했다. 설 명절 연휴 시작 전날 일찍 출발해 부산 처가에서 명절을 보낸 뒤 설 당일 새벽 첫차를 타고 의정부 본가로 가기로 했다.

지방이 고향인 B씨(43) 가족은 이번 설에 고향을 가지 않는다. 설과 추석 등 명절 때마다 최악의 교통 상황 때문에 곤혹을 치르자 친적들과 합의를 통해 신정인 1월1일 차례를 지내고 있는 것. B씨는 "귀성-귀경길 최악의 교통 대란을 피할 수 있고 설 연휴도 즐길 수 있어 일석이조"라며 흐뭇해했다

■'역 귀성', '명절 여행족' 급증

고향에 계신 부모가 자녀들이 있는 도시에서 명절을 보내는 '역귀성' 현상은 이제 일반화돼 있다. 아직도 설빔을 곱게 차려입고 고향에서 설을 보내는 가정이 많기는 하지만 시골에 있는 부모들이 직접 재배한 채소 등 이것 저것 싸들고 도시로 향하는 버스를 타기위해 버스 터미널에서 기다리는 모습은 명절이면 흔하게 볼 수 있다.

차례나 음식 준비를 간소화하고 부부나 가족끼리 여행을 떠나는 등 신풍속도 확산되고 있다. 시장에서 장을 봐서 정성껏 장만한 음식을 설 차례상에 올리는 것도 옛날 풍속이다. 이미 다 만들어 놓은 음식을 차례상에 올리는 가하면 차례상 전체를 차려주는 전문 업체까지 등장할 정도다.

이처럼 설 차례는 간소화하고 신정 때 설 차례를 지내는 대신 설 연휴에는 여행을 떠나는 가족단위 여행객들이 늘고 있다.

신정에 가족들이 모여 차례를 지낸 박모씨(38) 가족은 이번 구정 설에는 제주도로 여행을 다녀오기로 했다. 박 씨는 "교통도 복잡하고 해서 친척들이 합의해 신정 때 제사를 지내고 설 연휴때는 돈을 모아 함께 여행을 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세뱃돈도 이젠 모바일 시대

IT 문화가 발달하면서 전통적인 설 명절 맞이 방식도 변하고 있다. 현금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세뱃돈 문화는 휴대 전화로 대신하는 모바일 상품권 등 IT 서비스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모바일 상품권은 책, 음반, 영화, 쇼핑 등 다양하게 쓸수 있는 젊은 층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새해 인사 역시 예전에는 설날 연하장을 보내는게 추세였지만 이제는 문자 메시지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으로 대신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있다.

최모씨(42)는 "조카들에게 뭔가 특별한 세뱃돈을 주고 싶은 마음이 여러 방법을 알아보다가 모바일로 상품권을 줄 수 있다는 정보를 듣고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해 세뱃돈으로 주기로 했다"며 "스마트폰을 즐겨 쓰는 만큼 조카들이 좋아할 것을 생각하니 기쁘다"고 말했다.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