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고졸 공무원이 1급에 올라 화제

2014. 1. 15. 16:4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용삼 신임 종무실장

김용삼 신임 종무실장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순수 고졸 출신으로 1급 고위직(일반직 고위공무원 가급)에 오른 공무원이 탄생해 화제다.

주인공은 15일 종무실장으로 승진한 김용삼(57) 문체부 감사관.

중앙부처 1급은 일반직 공무원이 올라갈 수 있는 최상위 직급으로 차관 바로 아래 자리다. 중앙부처 전체를 통틀어도 1급 288명 중 고졸은 단 세 명에 불과하다.

'고졸 신화'를 연 김 신임 실장은 1975년 연천고를 졸업한 게 최종 학력으로 고시 출신도 아니다.

고졸 출신 공무원일지라도 재직 중에 한국방송통신대 등 대졸 학력을 추가하지만 김 실장은 고졸 이후 학력란을 깨끗하게 비웠다. "학교 공부할 시간이 있다면 업무를 더 파악하겠다"는 것이 본인 의지였다는 게 주위 전언이다.

김 실장은 공주사대에 합격했지만 진학을 포기했다. 대학 등록금은커녕 생활비를 마련하기에도 빠듯한 집안 형편 때문이었다.

지방직 5급(현 9급)으로 공직을 시작했다가 군 복무 뒤 1981년 7급 공무원 시험을 거쳐 중앙부처에 발을 디뎠다. 문화공보부 총무 업무를 시작으로 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 게임음반과장 직대, 한국예술종합학교 교학처 교무처장, 전통예술과장, 인사과장, 국립국악원 국악진흥과장 등을 거쳐 지난 2011년 고위공무원이 됐다.

그는 업무에 빈틈이 없고 책임감이 강해 빠르게 신임을 얻었다고 한다. 특히 게임 분야에서는 관련 정부 정책의 초석을 다진 이로 평가받는다.

맡은 분야를 넘어 조직을 위한 큰 그림을 고민하는데다 갈등 조정 능력이 탁월하다는 게 중론이다. 진정성 있게 사람을 대해 따르는 후배가 많으며, 특히 부처 내 비고시 출신 공무원 사이에서는 '롤모델'로 여겨진다.

김 실장은 "기쁘기보다는 책임감과 부담감 때문에 어깨가 무겁다"며 "공직 생활을 하면서 매사에 요령을 피우지 말고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자는 생각으로만 임했을 뿐인데 과분한 자리를 맡게 됐다"고 말했다.

cool@yna.co.kr

여야의원, 내달 무라야마 前총리 국회강연 추진
싸이, 스눕독과 인천 일대서 신곡 뮤비 촬영
삼성 "200개대 총학장에 추천권…연중 지원접수"(종합2보)
MLB닷컴 "윤석민, 남은 FA 투수 중 좋은 자원"
<민주, 당직 큰폭 물갈이…지방선거 첫 승부수>

▶연합뉴스앱

▶궁금한배틀Y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