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신봉동 고분군서 석곽묘 3기 첫 발굴

이성기 2013. 12. 24. 10: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주=뉴시스】이성기 기자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 고분군에서 백제시대 석곽묘 3기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청주시는 이 같은 내용의 신봉동 고분군 7차 발굴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신봉동 고분군은 청주시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무심천의 서쪽 낮은 구릉에 자리한 백제권역 최대의 무덤 유적이다.

앞서 6차례 발굴조사로 석실묘 3기, 토광묘 320기, 소형수혈유구 49기, 기타 유구 20기 등을 발굴했고, 유물은 철제 마구류와 무기류, 각종 토기류와 옥석류 등 3000점 이상을 출토했다.

산자락 아래부터 위로 올라가며 소형토광묘-목관묘-목곽묘-석실분 등이 있으며, 구릉 상부로 올라갈수록 무덤의 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7차 조사는 92-2호 석실이 자리한 신봉동 고분군의 동쪽 사면 상단부를 조사했으며, 한국선사문화연구원(원장 우종윤)이 지난 10월부터 조사를 진행했다.

발굴조사 결과 석실묘 1기와 석곽묘 3기, 토광묘 2기 등 6기의 백제 무덤유구를 발굴했다.

특히 지금까지 6차에 걸쳐 진행한 발굴조사에서는 보이지 않던 석곽묘 3기를 발굴해 주목된다.

3기의 석곽묘는 13-1호 석실분(석실묘)을 중심으로 서로 인접해 단독으로 해발 94m 선상에 조성한 수혈식 석곽묘이다.

축조방법은 기반암 풍화토를 수직 또는 비스듬히 굴착한 뒤 20∼35㎝의 크고 작은 할석을 이용해 축조했다.

13-1호(218×59×71㎝)와 13-3호(226×74×46㎝)와 달리 13-2호(167×58×56㎝)는 바닥면에 강자갈을 깔아 차이를 보인다.

유물은 대체로 양쪽 단벽에 가깝게 부장했는데, 단벽 쪽에서 광구소호, 발형토기 등의 토기류가 장벽 쪽에는 철도자, 철촉이 출토됐다.

13-1호 석실분은 해발 91.5∼93.6m 선상에 걸쳐 조성한 방형의 석실분이다.

묘광의 규모는 남-북 560㎝, 묘도부까지를 포함한 동-서길이 706㎝, 잔존깊이는 196㎝이고, 연도부를 제외한 석실 내부의 규모는 남-북 340㎝, 동-서 345㎝이다.

묘광과 벽석 사이는 벽석에 사용한 할석보다 큰 할석과 적갈색∼적황갈색사질토를 층층이 쌓아 보강했다. 연도부를 제외한 바닥전면에는 5∼10㎝ 크기의 강자갈을 깔았다.

석실 내부에는 기존에 조사된 3기의 석실묘에서 보이는 관대시설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남벽과 북벽에 가깝게 일정 간격으로 놓여 있어 관대시설로 추정된다.

서벽을 따라 회청색의 단경호와 연질호편, 개배 등의 토기류가 부장됐고, 다량의 꺾쇠와 관정이 관대석으로 추정되는 범위 내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됐다.

석실의 중앙부에서 서벽으로 약간 치우쳐 성시구가 출토됐다.

이번에 조사된 토광묘, 석곽묘, 석실묘에 묻힌 사람은 무덤의 규모와 출토유물로 보아 비교적 높은 위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무덤 조성 시기는 5세기 중엽∼후엽으로 추정되며, 지금까지 신봉동 고분군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던 석곽묘가 발굴돼 고분군의 묘제의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기수 청주시 문화관광과장은 "청주 신봉동 고분군에서 청주의 역사 뿌리를 밝혀줄 유적과 유물이 출토된 만큼 추가 조사를 해 정확한 성격을 밝힌 후 역사 교육장으로 활용하겠다"고 했다.

skle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