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들어 4번째 후진국형 사고.. 극에 달한 안전불감 스러지는 노동자 인권

2013. 7. 30. 17: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 들어 안전사고가 속출하며 안타까운 인명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정부가 '행정안전부' 명칭을 '안전행정부'로 바꿔가며 국민 안전을 강조하고 있지만, 건설현장과 산업현장, 청소년 캠프, 대학 캠퍼스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안전사고가 속출하고 있다.

서울 방화동 방화대교 남단과 올림픽대로를 연결하는 공사현장에서 30일 접속도로(램프) 상판이 무너져 인부 3명이 매몰됐다. 2명은 숨졌고 1명은 부상했다. 노량진 수몰사고, 사설 해병캠프 익사 사고, 울산 물탱크 폭발 사고에 이어 이달 들어 네 번째 발생한 대형 안전사고다.

이 사고들은 모두 안전불감증에 의한 후진국형 인재(人災)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지난 15일 노량진 수몰사고는 사전에 막을 기회가 수차례 있었다. 팔당댐 방류량 증가로 한강 수위 상승에 대한 사전 경고가 있었지만,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와 감리업체, 시공사 모두 이를 무시하거나 현장 근로자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 그 결과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이 목숨을 잃었다.

충남 태안의 사설 해병캠프에서 18일 일어난 고등학생 익사 사고는 더욱 황당하다. 사고 발생 전 지역 주민들이 캠프 관계자들에게 위험성을 수차례 경고했지만 무시당했다. 제대로 된 자격증도 없는 교관들이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학생들을 바다로 내몰아 5명이 안타까운 죽음을 당했다.

울산 삼성정밀화학 생산공장에서 26일 발생한 물탱크 폭발 사고에서는 17m 높이의 소방용 물탱크가 터지면서 약 1300t의 물이 쏟아져 내려 작업 중이던 근로자 3명이 숨지고 12명이 다쳤다. 물탱크를 수리하면서 주변 근로자를 대피시키는 등 기존적인 안전조치만 취했더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지난 19일 세종대 황산 폭발 사고 역시 허술한 안전관리에 원인이 있었다. 세종대는 불과 두 달 전 유독가스가 유출돼 학생과 교직원이 대피하는 소동을 벌였던 곳이다. 그러나 실험실 관리는 여전히 허점투성이였다. 충북대 안전공학과 박재학 교수는 "사회 전체적으로 효율성을 중시하고 안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은 점이 안전사고가 이어지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며 "모든 현장에서 안전을 최우선시하는 풍토를 조성하지 않으면 사고는 계속 되풀이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인기기사

  • 결국… 성재기 투신, 죽음으로 이어진 퍼포먼스
  • '딸기찹쌀떡 눈물' 甲乙논란에 엇갈린 반응
  • 졌다! 허무하게 일본에… 잠실 쇼크
  • "성재기는 갔습니다, 맛이 갔습니다"… 조롱 낙서
  • '군산 여성 실종' 연루 경찰관 행방 묘연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