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19일] 월급 적은데 점심 값도 못 받는 사람들

입력 2013. 6. 19. 11:40 수정 2013. 6. 19. 17: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당신의 점심 안녕하십니까

③ 일해도 벌어도 부족한 점심 밥값

"점심밥은 잘 먹고 다니시나요?"

<한겨레>가 17일치 신문부터 '당신의 점심 안녕하십니까' 기획기사를 연재하기 시작했습니다. 모두 4회에 걸쳐 직장인의 점심식사를 '기본적 인권'의 차원에서 점검하려 합니다.

직장인들이 퇴근시간 다음으로 애타게 기다리는 시간이 점심시간이지요. 상사 눈치 보느라 먹고 싶은 것도 못 먹고, 쪽잠이라도 자보려 하지만 눈치 보여 화장실만 기웃거리신다고요? 아예 일에 쫓겨 점심시간을 못 챙기는 경우도 많다고요? <한겨레>가 직장인 여러분의 점심시간 권리 찾기에 나섭니다.

이를 위해 독자 여러분의 의견을 받으려 합니다. △점심시간에 대한 불만 △점심과 관련해 바라는 점 △현재 몸담고 계신 직장의 점심 메뉴와 식비 등 점심과 관련한 어떤 의견이든 이 기사의 댓글에 남겨주세요. 주신 의견들을 기획기사 '④ 점심이 있는 삶을 위하여'에 반영하겠습니다.

꼬박 한달을 일해야 105만원을 손에 쥐었다. 점심 식대는 0원이다. 대구대학교 교수연구동을 청소하는 현태늠(60)씨는 매일 점심, 다른 청소노동자들과 삼삼오오 모여 반찬을 꺼낸다. 학교식당에서 2500~4000원짜리 점심 밥을 사먹을 수 있지만, 100만원 남짓한 월급이 떠오르면 지갑을 슬그머니 닫게 된다. 현씨의 동료들은 다들 집에서 가져온 김치와 나물 등속을 꺼내놓고 점심을 나눈다. 아침 6시30분 집을 나서는 현씨는 새벽마다 반찬 도시락을 싼다. 그래도 밥만은 휴게실에서 전기밥솥에 바로 지어먹는다. 밥이라도 '뜨신밥'을 먹고 싶어서다.

청소노동자·알바 등 저임금노동자월급 적은데 점심값도 못받아근로기준법에 의무규정 없는데다사업주도 비용절감하려 지급 안해

현씨와 동료들은 지난달 21일 빗자루와 걸레를 내려놓고 거리로 나섰다. 서울 대부분 대학과 달리 대구와 경북 경산 지역의 12개 대학 중 청소노동자에게 점심값을 주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 현씨는 "한달 점심값이 몇만원 안되는 것처럼 보여도 월급 100만원에 비하면 작지 않은 돈이에요. 연장근무수당이나 상여금조차 없는데 점심값도 주지 않는 건 너무한 거잖아요"라고 말했다. 대구대 청소노동자들 100여명은 본관 농성 끝에 지난 12일 점심값 5만원, 직무수당 13만원 지급 약속을 얻어냈다.

거리에 나왔지만 점심값을 쟁취하지 못한 이들도 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일하는 조리사 박영순(42)씨는 1150여명의 아이들이 먹고 남은 학교 급식으로 점심을 해결한다. 2011년까지는 급식비까지 매달 6만원씩 내고 먹어야 했다. 그나마 지난해부터 급식비를 안 내도 되게 됐지만, '잔반처리반' 같은 기분을 지울 수 없어 여전히 불편하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돈까스 같은 음식이 나오면 아예 남는 게 없고, 낮 12시부터 점심시간이라 해도 교실마다 배식을 마쳐야 하기에 마음 편히 점심을 먹을 수도 없는 처지다. 그런데도 정규직 직원들에게 나오는 점심식대 13만원이 박씨 등에게는 나오지 않는다. 100만원대 초반의 월급이 전부일 뿐이다. 박씨 등 점심값 지원을 받지 못하는 학교 비정규직은 20만명이다. 이들은 지난 3일부터 정규직과 동등한 급식지원비를 지원해달라며 릴레이 단식을 벌이면서 교육부와 교섭 중이다. 박씨는 "쩨쩨한 것에 목숨 건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작은 것 하나도 보장이 안 되는 게 우리 현실이다. 부엌데기처럼 점심시간마다 남은 음식을 처리하듯이 밥을 먹는 게 서글프다"고 말했다.

근로기준법상 점심값을 의무적으로 지급하라는 규정은 없다. 점심값은 생활보조비나 복리후생비로 포함되기 때문에 사업주와 노동자의 계약이나 단체협약에 달린 문제다. 그래서 사업주와의 관계에서 불리한 비정규직이나 아르바이트생들은 식대를 보장받기가 쉽지 않다. 특히 저임금 노동자들의 경우 식대를 보장받지 못하면 적은 월급에서 밥값을 따로 지출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커진다.

대부분의 아르바이트생들은 점심을 제공받지 못하면 돈을 아끼기 위해 밥을 거르거나 대충 점심을 때운다. 경기도 안산의 한 공장에서 종이상자에 캔커피를 담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박미리(가명·21)씨는 대개 편의점에서 800원짜리 삼각김밥 하나로 점심을 때우거나 집에서 도시락을 싸온다. 점심값이 따로 나오지 않아, 근처 식당에서 5000원짜리 밥이라도 한끼 사먹으면 한시간 일한 시급 5100원이 날아가는 셈이다. 박씨는 "다이어트 한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하다"면서도 표정은 허탈해 보였다. "점심을 충분히 못먹으니까 집에 가자마자 저녁을 먹어요. '알바'하면서 점심주는 데는 잘 없으니까 그냥 그러려니 생각해요."

전문가들은 사업주들의 얄팍한 비용 절감 의도가 문제라고 지적한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연구원은 "사업주가 비용을 줄이려고 간접고용을 하거나 파트타임 근로자를 채용하는데, 이들에게 식비를 쉽게 주려고 하겠나. 식비를 못받는 비정규직이 많은 건 사업주들이 비용을 줄이려고 하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점심값은 저임금 문제 해결로 풀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저임금으로 사람들을 고용해 왔기 때문에 임금에서 채워주지 못하는 부분을 식대와 같은 방법으로 만족시켜왔다. 식대를 따로 달라고 할 게 아니라 식대를 안 받아도 부담이 없을 정도로 최저임금을 올리는 방법으로 저임금 문제를 해결하는 게 궁극적인 해결책이다. 외국의 경우도 점심식대를 따로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유빈 기자 yb@hani.co.kr

갈수록 오르는 밥값…싼 걸로 골라 먹는다불황에 편의점 도시락 매출 급증

서울 신촌의 한 영어학원 강사인 박민우(가명·38)씨는 점심시간이면 카페로 향하곤 한다. 샌드위치와 커피로 간단한 점심을 먹기 위해서다. 시간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수업시간표에 따라 점심시간이 매일 달라도, 적어도 1시간의 점심식사 시간은 자유다. 그래서 박씨는 책을 읽거나 내려받아둔 미국드라마를 보며 여유를 즐기려고 카페를 찾는 것이다. 카페에서 박씨는 7000~8000원을 점심값으로 쓴다. 식당 밥값을 웃도는 돈이지만 매달 점심식대 10만원이 지원되고 매달 400만원가량 버는 박씨에겐 큰 부담이 아니다.

박씨의 절반 가격에 점심을 해결하는 직장인도 있다. 서울 상수동의 건강보조식품 판매업체에 다니는 김아무개(31)씨는 점심시간 10분 전 도시락을 사러 나간다. 5명가량 근무하는 소규모 업체인데, 점심값이 한끼에 4000원 정도 나오기 때문에 모두들 점심값을 아끼려고 2700~3800원짜리 도시락을 사먹는다. 150만원 정도 월급에서 한끼 4000원이 넘는 점심은 부담스럽다. 파는 도시락이 물리면 때때로 집에서 도시락을 싸오기도 하고 떡볶이 같은 분식으로 점심을 해결하기도 한다.

직장인들의 점심값은 천차만별이지만, 평균 점심값은 지속적으로 올라왔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남녀 직장인 768명을 대상으로 '점심비용과 메뉴'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평균 점심값은 6219원이었다. 2009년 평균 5193원에 견줘, 4년간 1026원이 오른 셈이다.

박씨처럼 여유로운 시간을 위해 메뉴를 고르는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는 가격을 기준으로 점심메뉴를 고르는 직장인들이 훨씬 더 많았다. 점심메뉴를 정할 때 가격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자(2가지 이상 선택)는 전체의 82%로 가장 많았고, 맛(74.2%), 그날의 기분(30.7%), 스피드(16.9%), 양(15.4%)이 뒤를 이었다. 가장 많이 먹는 점심메뉴는 5년 연속 김치찌개(39.3%)가 1위를 차지했고 백반(34.5%), 된장찌개(26.6%)가 뒤를 이었다. 비교적 저렴한 메뉴들이다.

점심값 부담이 커지면서 편의점 등에서 간단히 점심을 때우는 이들도 늘고 있다. 편의점 씨유(CU)의 경우, 서울 강남 지역의 편의점에서 파는 도시락 매출이 올 들어 5월까지 전년대비 47.4%나 급증했다. 삼각김밥은 24.6% 매출이 늘었고, 컵라면·샌드위치·줄김밥 등도 15~17%씩 증가했다. 영등포 지역 편의점에서도 도시락은 23%, 삼각김밥은 19.5% 매출이 증가했다. 편의점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점심 메뉴는 그 중에서도 컵라면이었고, 다음으로 삼각김밥이었다. 둘 모두 가격은 1000원 안팎이다. 3위 점심 메뉴는 2800~4300원인 도시락이었다. 편의점 관계자는 "경기불황 때문에 도시락 매출이 급증했다. 점심 한끼 먹기도 부담스러워진 직장인들이 많이 찾고 있다"고 말했다.

최유빈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내 기억 속의 한국일보 기자들답은 홍명보! 왜 망설이는가[궁금한 TV] 물벼락 세리머니, 진짜로 감전될까4대강 준설토 위에 모래 쌓아 '모래썰매장'을?[화보] 세계 최대 항공기 축제 파리 에어쇼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