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희윤 기자의 싱글노트]그래, 봄이지.. 나의 '벚꽃 엔딩'은 이거야

2013. 4. 9. 03: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3년 4월 8일 월요일. 봄 맞지. 번역의 이론과 실제(2) #53 Alcest 'Printemps Emeraude'(2007년)

[동아일보]

고심 끝에 입학한 불어불문학과는 내게 고작 1년간의 행복도 허락하지 않았다. 첫 한 학기는 고교 제2외국어 교육의 뒷심으로 버틸 수 있었다. 학교생활도 나쁘지 않았다. 새내기였으니까. 문제는 1학년 2학기 초급회화(2) 시간에 불거졌다.

교수님은 프랑스 TV 뉴스의 정통 발음을 감상해보자며 영상물을 재생했다. 남자 앵커의 목소리를 들은 뒤 난 깨달았다. 이건, 아니란 걸. 불어의 억양은 하나뿐이다. 평탄하게 가다 문장 끝만 올려주는 것. 여자 분 것까진 괜찮았다. 남자 앵커의 억양은 뭐랄까…. 화이트 초콜릿 모카 위에 휘핑크림을 고봉(高捧)으로 얹은 뒤 친한 친구와 입을 맞대고 흡입하는 느낌쯤? 드라마 '그 겨울, 바람이 분다' 속 솜사탕 키스처럼.

불어책보다 팝 가사와 음악잡지를 60배쯤 많이 읽었던 5년의 학부 생활 동안 유일하게 내 맘을 흔든 텍스트는 라신의 17세기 고전비극 '페드르'였다. 궁정에서 벌어지는 막장 드라마와 그 등장인물이 대사로 주고받는 폭풍 같은 각운(脚韻) 릴레이는 마치 1만 분짜리 랩을 읽는 듯했다. 구절구절 소름 끼쳤다. 요즘 랩은 랩도 아니다.

5년 뒤 내 맘을 다시 강탈한 불어는 프랑스 포스트 메탈(post-metal) 밴드 알세스트의 앨범 '다른 세계의 기억'에 담긴 노래 '에메랄드빛 봄'이었다. 리더 네주(neige·눈·雪)는 어릴 때 꿈에서 봤다는 '다른 나라'의 풍경을 소리로 옮겨냈다. 전자기타 소리를 잔뜩 일그러뜨린 뒤 긴장음을 포함한 화성을 연주해 내는 몽환적이고 강렬한 악곡과, 네주의 여린 천사 같은 보컬은 낙차 큰 대비를 이루며 그 세계로 인도한다.

5분 24초부터 종결부를 장식하는 블래스트 비트(헤비메탈에 많이 쓰이는, 분당 박자 수 180 이상으로 빠르게 드럼을 연타하는 주법)는 그 나라의 끝을 향해 달려가는 여자 아이와 그를 좇는 남자 아이의 동선을 핸드헬드로 촬영하며 따라가는 청각적 환상을 불러일으킨다. 숲의 끝은 꿈의 끝이다. 그래, 노트. 이 계절, 나의 '벚꽃 엔딩'은 이거였어.

'봄의 숲은/천국의 둥근 지붕,/에메랄드가 별처럼 총총히 박힌./나뭇잎들은 가벼운 바람에 춤추고/햇살은 그들을 보석으로 바꾼다.…'

임희윤 기자 imi@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