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정금리·비거치식 주택담보대출 비중 크게 늘어
유한빛 기자 2013. 2. 18. 12:01
지난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서 고정금리·비(非)거치식 대출의 비중이 2011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은 지난해말 잔액 기준 은행권의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14.2%로 전년말보다 11.1%포인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아나가는 비거치식 주택담보대출의 비중도 2011년말 7.7%에서 지난해 말 13.9%로 두 배가 됐다.
금감원은 비거치식 대출금리 우대 정책과 취급액 14조2000억원을 기록한 적격대출(장기 고정금리 주택 구입 자금 대출)의 인기 때문에 비거치식 대출의 비중이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적격대출의 절반(48.4%)은 비거치식 대출이었다.
반면 전체 주택담보대출에서 일시상환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잔액 기준으로 2011년 말 38.3%에서 지난해 말 33.7%로 4.6%포인트 줄었다.
조성민 금감원 은행감독국 가계신용분석팀장은 "금리가 바뀌거나 만기일이 됐을 때 대출을 받은 가계에 큰 충격이 없도록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비거치식으로 전환해 가계대출구조를 건전화하려는 것"이라며 "오는 2016년까지 고정금리와 비거치식 대출 비중을 전체의 30%까지 늘릴 계획이다"고 말했다.
chosun.com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선비즈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그들은 왜 삼성을 떠났나]② 공정 결함 축소하고, 아이디어 도전 어려워… “경쟁사는 내부 경
- [뉴테크] ‘배터리 폭발’ 뿌리부터 잡는다…韓·中, 차세대 기술 개발 경쟁
- [단독] 압구정 3구역, 재건축 올스톱 위기…시가 2조6000억원 어치 땅 서울시·현대건설·현대산업
- 한국·중국 유독 많은 혈액암…K면역항암제가 간다
- ‘정책 엇박자’ 먹구름 끼는 재건축… 공사비 3.3㎡당 1000만원 넘는데 대출 규제까지
- 찜통 더위, 침실까지 바꿨다… 냉감 침구 수요 증가
- 현대차그룹 계열사, GBC 지연에 기약 없는 ‘셋방살이’
- KTX·SRT 분리 10년 만에 다시 불붙은 ‘통합론’… 국정위도 검토 착수
- 이마트, 8년 만에 영업익 5000억원 돌파 전망
- LNG 자산 유동화하는 SK이노...배터리 집중 위해 E&S 구조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