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버는 여성들이 아이 더 낳는다"
보사연 '저출산고령화 심포지엄'…"경력단절 위험도 출산율에 부정적"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임금이 높으면 둘째 자녀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공무원 등 공공부문 근무 여성이 평균 자녀수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7~18일 서울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리는 '저출산고령화 대응 학술 심포지엄'에서 이같은 연구 결과를 내놓는다.
심포지엄 첫날 보사연 김현식·김지연 연구원이 발표하는 '여성의 근로조건과 출산력' 연구에 따르면 임금이 높은 여성이 저임금 여성에 비해 자녀를 많이 낳는 경향을 보였다.
노동시장 연구 목적으로 5천 가구로 구성된 한국노동패널 자료 1~11차(1998~2008) 자료를 연구진이 분석한 결과 200만원 이상 받는 여성들이 100만원 미만 여성들보다 출산율이 더 높게 나왔다.
또 인구 유지에 중요한 둘째 자녀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 여건을 조사한 결과 대졸 여성의 경우 정규근무시간이 짧을수록 둘째를 더 많이 낳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졸이면서 임시·일용직인 여성이 대졸 정규직에 비해 둘째 출산율이 높은 현상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임금이 높은 여성일수록 출산력이 높고 경력을 추구하는 여성들이 출산을 낮추려는 경향이 관찰된다"면서 "출산율을 높이려면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과 함께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경력단절 위험'이 출산율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비교 연구에서도 드러났다.
명지대 우석진 교수(경제학)가 한국노동패널 10차(2007) 자료를 분석한 결과 30대에 공공부문에 근무한 여성은 민간부문 근무 여성에 비해 평균 자녀수가 0.67명 정도 더 많았다. 상대적으로 경력 단절의 위험이 덜한 공공부문 여성의 출산율이 높은 것이다.
우 교수는 "경력단절 위험이 출산율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매우 크다는 점이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저출산고령화가 노동시장, 부동산, 도시계획, 조세정책, 기업문화 등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안도 함께 논의된다.
tree@yna.co.kr
☞ 美경찰 "총기난사범, 학교 강제로 밀고 들어가"
☞ 최윤영 "호정이는 행복해질 일만 남았죠"
☞ 울산 작업선 실종자 수색 사흘째…추가 발견 없어
☞ 영국축구 이청용 선발활약..김보경 결장
☞ 대선 D-3 朴-文 막판 총력전..오늘 TV토론 분수령
<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손흥민, 공갈 혐의로 20대 여성 고소…"임신 속여 수억원 요구" | 연합뉴스
- "이재명 후보 명함 30만장" 대전서도 발생한 노쇼 사기 | 연합뉴스
- 충북 음성 저수지서 남성 변사체 발견…경찰 수사 | 연합뉴스
- 싸움 말린 여교사 폭행한 초등생…부모는 아동학대로 신고(종합) | 연합뉴스
- 튀르키예 영화 '아일라' 실제 주인공 김은자씨 별세 | 연합뉴스
- '탄핵이 필요한 거죠' 尹 풍자 가수 불송치…KTV 고소 취소 | 연합뉴스
- 고속도로 갓길에 돼지만 덩그러니…"운반 중 떨어져" | 연합뉴스
- 민주 "尹내란사건 재판장, 룸살롱서 직무관련자로부터 접대받아"(종합) | 연합뉴스
- '이별 통보' 연인 66차례 찔러 살해한 40대 2심도 징역 25년 | 연합뉴스
- 페루 유명 유적지에 남성성기 그림낙서…당국 "끔찍하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