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가계대출은 조이지만 새희망홀씨는 '활짝'
정부가 가계부채 증가율 관리를 강화하면서 최근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창구가 좁아졌다. 그러나 연소득 300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에게 빌려주는 서민금융상품인 '새희망홀씨'를 이용하는 서민들은 이런 어려움에서 한 발짝 비켜가게 됐다. 지난 5일 은행권이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연간 새희망홀씨 대출 목표치를 1조2000억원까지 올려잡는 등 취급을 활성화하기로 했기 때문. 최근 일부 은행은 이 상품 금리를 0.5~1.0%포인트까지 낮추기도 했으니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창구를 찾아볼만 하다.
새희망홀씨란 은행권이 작년 11월부터 새롭게 출시한 서민전용 신용대출 상품이다. 6일 현재 전국의 16개 시중은행이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새희망홀씨를 이용할 수 있는 대상은 신용평가회사가 산정한 신용등급 5등급 이하이면서 연소득이 4000만원 이하이거나 신용등급에 관계없이 연소득이 3000만원 이하인 사람이다. 대출 한도는 최대 2000만원 이내이며, 생계자금이나 사업운영자금 등의 용도로 최장 5년까지 돈을 빌릴 수 있다.
이 상품은 전 은행권이 공용으로 출시한 상품인 만큼 대출조건과 금리에 큰 차이는 없다. 금리는 최저 7%대에서 최고 14%대까지이며,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다문화 가정·다자녀(3자녀이상)가구·60세 이상 부모 봉양자 등에게는 각각 0.2%포인트씩 우대금리를 적용한다.
다만 여기에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우대금리 조건은 각 은행이 약간의 차이를 두고 운영하고 있으니 참고해서 찾아가는 편이 좋다.
신한은행은 최근 새희망홀씨의 대출금리를 0.5~1.0%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따라 현재 적용하는 금리는 연 8.0%~연 11.5% 수준이다. 신한은행은 아파트 관리비·공과금 이체 고객이나 신용·체크카드 이용고객, 급여이체, 예금통장이나 신탁 가입 고객 등에게는 각각 0.2%포인트씩의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또 만기일시상환형을 선택한 고객이 원금 연체 없이 성실하게 채무를 상환하면 5년 동안 매년 연 0.2%포인트씩 금리를 깎아준다.
우리은행의 경우, 광복 66주년 기념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금리를 깎아주고 있다. 올해 10월12일까지 개인마다 다르게 산정되는 가산금리를 0.5%포인트 깎아주고 있기 때문에 연 6.45%~ 연 13.45%로 이용할 수 있다. 화물차 유류구매카드를 사용하는 사람이나 우리은행 급여이체자에게는 0.2%포인트씩의 우대금리를 적용하며, 분할상환원리금을 30일 이내로만 연체한 성실상환자에게는 1년마다 0.25%포인트씩 총 네 번 금리를 깎아주고 있다.
국민은행은 새희망홀씨상품을 고정금리로만 취급한다. 기본금리는 연 12%~연 14%까지이며 대출금을 성실하게 상환하는 사람에게는 3개월 단위로 0.2%포인트씩 금리를 깎아주고 있다.
기업은행은 새희망홀씨에 최고 연 11%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원리금을 분할상환하거나 기업은행과 거래하는 소기업 대표가 추천하는 사람에게는 0.2%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은행들은 앞으로 새희망홀씨 공급을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으므로 당분간 은행의 한도가 모자라 대출을 중단할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 한 대형 시중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새희망홀씨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계속해서 확대할 예정이기 때문에 연간 목표치는 특별히 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은행연합회 신용정보 전산망에 3개월 이상 연체정보나 부도 등 신용도 판단정보나 조세·과태료 등을 체납해 공공정보가 기록된 상태라면 이 상품을 이용할 수 없다. 또 대출 신청일 기준으로 3개월 이내에 30일 이상 연체한 대출금이 있거나, 3개월 이내에 10일 이상 연체한 기록이 4번 이상이면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조선비즈 핫 뉴스 Best
- ㆍ
"영감과 오피스텔로 들어갈 수도 없고…"
- ㆍ
공짜왕국 구글 유료?"지도보려면 돈내"
- ㆍ
마징가Z 닮은 외관, 탱크 같은 힘 '깜짝'
- ㆍ
배우자 출산휴가 5일로 는다…3일은 유급
- ㆍ
전월세 사기 안당하려면 '○○○컨설팅'피하라
chosun.com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포탄 자체 생산 늘리는 유럽… 韓 방산, 현지화로 대응
- [인터뷰] KAIST 교수 된 충남대병원장 “전 세계 100만명 건강 정보 모아 수명 늘리겠다”
- [명의를 찾아서] “3개월 내 숨지는 급성 백혈병도 완치 가능…혈액암 정복에 올인”
- [비즈톡톡] 쏘카, 포르셰 카쉐어링 ‘아반떼N’ 때와는 다를까
- [재테크 레시피] “설문조사 했더니 15점 올랐어요”… 떨어진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은
- 6억원 광고 모델료 못 받아 소송 건 한예슬… 고등법원 판단은?
- 다음주 코스피200·코스닥150 종목 변경… 편출 종목은 공매도 쏠릴 수도
-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유현준 “머스크는 21세기의 알렉산더, 트럼프보다 오래 갈 것”
- [르포] 명동 피규어샵에 중국인 100명 ‘오픈런’… “中에 리셀, 한 번에 200만원도 법니다"
- ‘형수 욕설’ ‘소방관 갑질’ 네거티브 공방전… 사회 통합 현안서도 격돌(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