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마약사범 50여명 비공개 총살

2011. 5. 10. 15: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당ㆍ군 간부까지 확산되자 전쟁 선포수백여명 감옥행…2차 검열선 공개 총살 지시

김정은의 지시로 북한 당국이 마약사범을 대대적으로 색출, 50여명을 비공개 총살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매체인 열린북한방송에 따르면, 평양 고위급 소식통은 지난해 연평도 포격 도발(작년 11월23일) 직후인 12월~올 1월까지 1차 비공개 마약 검열을 실시해 적발된 사범 50여명을 1월말 처형했다고 전했다.

이들의 계층은 고위 당간부와 군 간부, 부유층, 일반 군인 등 다양했다. 적발된 지역은 평양과 평안남도 평성시가 20여명으로 가장 많았고 함경남도 함흥시(10여명), 함경북도 7명, 양강도 5명 순이었다.

이처럼 군부는 물론 고위 당 간부들 사이에서도 마약이 널리 확산된 것으로 확인되자 김정은은 마약을 뿌리 뽑을 때까지 강력하게 검열하고, 주요 사범은 공개 총살하라는 2차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마약 중독이 체제를 흔들 수 있는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소식통은 "군부의 마약 중독이 심하다는 소문이 나면서 작년 12월 평양의 군부부터 검열이 시작됐다. 1차 검열에서 고위 당 간부들과 상류층은 물론 군부ㆍ보위사령부 요원, 보위부(정보기관 겸 비밀경찰)ㆍ보안원(경찰)들도 마약을 하고 일부는 매매까지 한 것으로 드러나자 김정은이 전국으로 검열을 확대하고 총살 등 엄벌을 내리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또 "비공개 처형 이후 수백여명의 마약사범이 감옥으로 끌려갔으며, 감방에서 예심과 매질로 죽은 사람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검열단은 각 기업소와 주민들을 상대로 중국이 마약 때문에 홍콩을 영국에 빼앗겼다는 실례까지 들면서 "마약은 나라를 팔아먹는 매국 행위다. 자수하면 용서해주지만 자수하지 않고 계속 마약을 하거나 밀매자를 알면서도 신고하지 않으면 모두 엄벌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고 한다.

연평도 포격 도발 직후 1차 마약 검열을 시작한 것과 관련, 소식통은 "북한이 당시 전쟁ㆍ보복이라는 말로 한국을 위협했지만 전체 인구의 상당수가, 그것도 고위층과 군부 일꾼 중에 마약 중독자가 많은 현실에서 확전 운운한 것은 말 그대로 목소리만 높인 것"이라고 꼬집었다.

북한 시골 중ㆍ하류층 등에는 아편(양귀비 열매의 즙액을 굳히거나 가공한 마약), 고위 간부ㆍ군인들 사이에는 필로폰이 널리 퍼져 있다. 북한 도시 인구의 절반이 마약을 한다는 얘기까지 나돈다.

아편은 김일성이 1970년대 외화 조달을 위해 함경도ㆍ양강도ㆍ황해도 등 산간지대에 양귀비 재배를지시했으며 동유럽 공산당 정권의 몰락으로 북한 경제가 어려워진 1992년 재배지역을 전국으로 확대, 시골 텃밭에서도 재배하기 시작했다. 구하기 쉽고 저렴하며 약이 부족한 시골에서 항생제ㆍ진통제 대신 쓰다 중독된 사람이 많다고 한다.

필로폰은 빙두ㆍ얼음이라는 이름으로 위장돼 대도시와 두만강 일대가 거점. 가격이 비교적 저렴(1g당 130ㆍ북한 돈 5만원ㆍ한화 2만2,000원)하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어 널리 퍼졌다. 식량난이 극심했던 1990년대 초반까지는 외화벌이 기관 간부들과 특정 개인들만 마약을 했지만 이후 권력기관 간부, 장사꾼과 이들의 대학생 자녀 등으로 확산됐다. 고위 간부나 군인들 사이에선 술을 많이 마셔도 필로폰 한 방울만 먹으면 술이 깬다며 즐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라헌기자 medici7@sed.co.kr

엄청난 재산이… '벼락 부자' 줄줄이 탄생
'걸리면 다 죽여라' 눈 뒤집힌 北김정은
전쟁 승패 뒤엎을 '우주 신무기' 떴다
'갤럭시S2'는 시작?… 강한놈 몰려온다
1억5천만원 깎아주는 '명품 아파트' 충격!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