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측에 따르면 강병철 교수가 개발한 담도 스텐트는 '의료 내강용 담도 스텐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이라는 이름으로 지난달 특허 출원돼 국내 등록을 위한 시험이 진행 중이다. 빠르면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식약청으로부터 의료기기 제조 품목 허가를 받아 실제 시술에 사용될 예정이다.
기존의 1자형 스텐트는 삽입 후 암 조직이 담관이 갈라지는 곳에 발생해 담관이 폐쇄됐을 경우 한쪽 관의 배액은 포기해야 했다. 하지만 강 교수가 개발한 Y자형 스텐트는 1자형 스텐트의 단점을 극복해 양쪽 관 모두에서 배액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담도 스텐트 시술은 국내에서 연간 약 2000에서 3000건 시술되고 있으며, 이 중 담관이 갈라지는 부위에 시행하는 시술이 50%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 측은 "시판될 경우 연간 최소 1000여건 정도의 시술에서 기존 1자형 스텐트를 대체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이와관련 스텐트(Stent)는 혈관, 위장관, 담도 등이 좁아져 혈액이나 체액 흐름이 순조롭지 못할 때 삽입해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의료용 재료다.
![]() |
강병철 교수가 개발한 'Y자형' 담도스텐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