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개월 투옥' '1087일 망명'.. 숫자로 본 김대중
[오마이뉴스 황방열 기자]
|
||||
|
김대중 전 대통령을 빼놓고는 한국 현대사를 말하기 어렵다. 헌정 사상 처음으로 여야간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뤄낸 데 이어 분단후 처음으로 북한 정상과 만났다. 또 첫 노벨상 수상자이다. 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국장으로 장례를 치르는 기록도 갖게 됐다.
이런 영광 뒤에는 5번에 걸친 생사의 고비, 투옥기간 71개월, 망명 1087일이이라는 '천신만고'가 있었다. 그의 파란만장했던 85년 생애를 숫자로 정리해 본다.
1
대한민국 첫 노벨(평화)상 수상자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수상자. 헌정 사상 처음으로 여야 간 평화적 정권교체 성공. 분단 후 첫 남북정상회담.
3
국회의원(3, 4대 보궐, 5대)과 대통령 도전(7대, 13대, 14대) 각 세 번씩 실패. 3단계 통일론으로 통일구상 정립. 집권 마지막해인 2002년 두 아들이 구속되는 등 이른바 '홍삼 게이트'사건으로 대국민 사과.
4
신당 창당 횟수. 평화민주당(87년), 민주당(91년), 새정치국민회의(95년), 새천년민주당 (2000년) 창당해 대표자 등재. 85년 이민우 총재의 신한민주당과 87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통일민주당 창당까지 포함하면 6회. 4수 끝에 대통령 당선.
5
80년 전두환 신군부의 사형선고 등 5번의 사선을 넘음. 6국회의원 6선(61년 강원도 인제에서 5대 보궐선거에 당선한 뒤 5·16쿠데타로 사흘만에 의원자격 박탈된 것을 제외하면 5선). 6대 국회에서 의정활동 시작.
9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김영삼 전 대통령, 김종필 전 총리 등과 함께 '정치 9단'으로 호칭.
13
2000년 6월 13일 평양 순안공항에서 진행된 북한의 영접행사 시간. 국회에 처음 들어간 6대 국회 초반 6개월 동안 본회의 13회 발언.
14
83년 미국 망명 시절 받은 에모리대 명예법학박사를 시작으로 14개의 명예박사학위 받음. 92년에는 러시아 외교아카데미에서 정식 박사학위(정치학) 취득.
15
대한민국 15대 대통령 27김영삼 전 대통령과의 단일화에 실패해 노태우 전 대통령이 당선된 87년 13대 대선 득표율. 노태우 36%, 김영삼 27%에 이어 3위.
29
전두환 신군부의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으로 수감돼 있던 80년 5월부터 82년 12월까지 가족에게 29통의 편지. 가족들이 보낸 편지는 900여통.
33
92년 14대 대선 득표율. 김영삼 전 대통령이 41%로 당선. 40.3대통령에 당선한 15대 대선 득표율. 이회창 39.7, 이인제 19.2% 431954년 전남 목포에서 3대 총선에 출마하면서 정치투신(낙선)한 뒤 1997년 대통령이 될 때까지 43년 걸림.
46
박정희 전 대통령과 맞선 7대 대선 득표율(박정희 6백34만표, 김대중 5백39만표) 54전두환 정권때 미국망명을 끝내고 귀국한 85년 2월부터 '6월 항쟁' 기간인 87년 6월까지 당한 가택연금 횟수. 김 전 대통령측은 도쿄에서 강제납치 당해서 돌아온 73년 8월부터 87년 6월 사이에 망명과 투옥기간을 뺀 나머지 기간 전체가 사실상 연금상태였던 것으로 인식.
71
전체 투옥개월수, 해방 이후 좌우익 갈등 상황에서 투옥된 것을 시작으로 77년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34개월, 80년 전두환 신군부에 의한 내란음모 31개월 등.
79
97대선 승리때 그가 이끌던 새정치국민회의 의석수(국회전체의석수는 299)
|
||||
|
194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때 김정일 위원장과 194분(3시간14분)간 공식회담. 전체 대면시간은 첫날인 13일에는 1시간 27분, 둘째 날인 14일에는 공식회담시간 포함해 3시간 30분간 동석.
319
6대 국회에서 64년 4월 김준연 의원의 구속동의안 상정을 막기 위해 319분(5시간 19분) 동안 필리버스터(의사진행 발언). 최장시간 국회 연설 기록으로 기네스북에 올랐고 그 뒤 7대 국회에서 의사진행발언을 30분이내로 제한하는 국회법 개정.
230
2000년 6월 14일 김정일 위원장과 230분(3시간 50분)간 정상회담. 458'40대 기수론'을 내건 1970년 신민당 대선후보경선 결선투표에서 458표를 얻어 410표를 얻은 김영삼 전 대통령을 누르고 승리
1087
전체 망명일수. 유신직후인 72년 10월부터 73일까지 미국과 일본에 310일간 1차 망명, 전두환 정권때인 82년 12월부터 85년 2월까지 777일간 미국으로 2차 망명.
1924
1924년 전남 무안군 (현재 신안군) 하의면 후광리 97번지에서 김운식(金云式)과 장수금(張守錦) 사이에서 장남으로 출생.
1962
동반자 이희호씨와 결혼 19974수 끝에 1997년 대통령 당선 20002000년에 방북해 김정일 위원장과 남북정상회담. 그해 12월에 노벨평화상 수상 200937일간의 투병 끝에 2009년 8월 18일 서거. ∞무한대. 남북화해, 인권,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 [☞ 오마이 블로그][☞ 오마이뉴스E 바로가기]- Copyrights ⓒ 오마이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J가 '전직 중의 하나'?'국민장' 아닌 '국장' 마땅
- 국장이냐 국민장이냐.. 법적으론 둘 다 가능
- 서태지 "젊은 세대의 대중문화와 음악을 사랑하셨다"
- [민심르포] '영원한 목포사람' 보내는 '목포의 눈물'
- [해외] 호주국영 abc-TV '김 대통령의 일생' 3차례 방영
- '교황 사칭해서 이런 노래를'...교황님이 박장대소한 까닭
- 국민의힘 주자들, 대한민국 대통령 되려는 사람들 맞나
- '말벌 동지' 된 동덕여대 졸업생... 파면 이후 그가 힘들어하는 까닭
- "공포감, 거리 전체가 피해 입어" '혐중'이 할퀸 양꼬치골목은 지금
- 암 환자가 점점 늘어나는 마을들... 세 가지 공통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