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익태 선생 친일 논란 확산..1942년 '만주국' 작곡 연주 장면 공개돼
[쿠키 사회]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는 '애국가'의 작곡가 안익태(1906∼1965) 선생이 친일행위를 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자료가 공개됐다.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에 재학중인 송병욱씨가 월간 객석 3월호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안 선생은 2차 세계대전 중이던 1942년 독일 베를린 구 필하모니홀에서 열린 '만주국 창립 10주년 기념 음악회'에서 베를린방송 교향악단을 지휘하며 자신이 작곡한 축전음악 '만주국'을 연주했다. 만주국은 일본이 중국 북동부를 점거한 뒤 1932년에 세운 괴뢰정부다.
송씨는 독일 영상자료실인 트란지트필름으로부터 입수한 동영상 자료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당시 음악회를 녹화한 7분여 길이의 동영상에는 '만주국 창립 10주년 축하 음악회'라는 독일어 자막이 찍혀있고,콘서트홀 중앙엔 대형 일장기가 세로로 걸려있다. 합창이 삽입된 음악의 작곡은 안 선생이,가사는 일본인 에하라 고이치가 맡았다. 가사는 일본과 만주국의 영광을 기리고,당시 일본과 동맹을 맺은 독일 및 이탈리아의 건승을 빌고 있다. 이 작품은 그동안 악보도 없었고 안 선생의 작품 연보에도 기록되지 않은 곡이다.
송씨는 또 '만주국'의 선율이 애국가가 실린 '한국환상곡'의 최종 완성본에 삽입됐다고 주장했다. '한국환상곡'은 1938년 초연된 이후 여러번 수정됐는데,안 선생이 해방 이후 '만주국'을 연주할 수 없게 되자 여기에 끼워넣었다는 것. 송씨는 이와함께 '한국환상곡'이 1935년 이부쿠베 아키라가의 '일본 광시곡'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친일 음악인 문제를 연구해온 노동은 중앙대 교수는 "일본 정부가 기원 2600주년 봉축회와 만주건국 10주년 기념회를 치르면서 안 선생의 은사인 독일 작곡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에게 곡을 의뢰한 사실 등으로 볼때 안 선생의 친일행위가 없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익태기념재단 김형진 이사장은 "동영상 자료 등은 좀더 검증이 필요하다"면서 "안 선생이 일본 천황 생일 때 연주를 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 만큼 10월로 예정된 학술대회에서 선생의 공과에 대해 공개토론을 계획중"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국민일보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