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헌규 특파원의 今日中國]'김치 종주국'이젠 중국?

2005. 11. 8. 13: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품기준 마련등 민족산업화 추진…제2전쟁 우려도

[베이징=최헌규 특파원] 통상마찰로 번질 뻔한 한ㆍ중 간 `김치전쟁`이 다행히 큰 충돌없이 수습의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주 말 우리 대사관과 중국 질검총국 측이 공식 접촉을 갖고 더 이상의 확전을 막자고 구두로 합의했다. 중국은 먼저 싸움을 건 한국 측이 자국산 제품에도 하자가 있음을 인정한 만큼, 이쯤해서 문제를 덮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하지만 최근 중국 측의 사태진단과 향후 김치(산업)전략 등 현지표정을 살펴볼 때 양국 간 김치전쟁은 정작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느낌이 든다. 특히 주목을 끄는 것은 중국이 이번 파동을 `식품안전을 내세운 무역장벽`으로 규정하는 한편 김치를 놓고 `민족산업` 운운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 일각에서는 한국 측이 김치 내수시장을 잠식당하고 세계시장에서까지 중국에 위협받게 된 것을 사태발생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언론들은 한국이 지난해 김치 순수입국으로 바뀐 데 이어 올 상반기 수입증가율이 작년 대비 114.4%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99.9%가 중국산이었다는 보도를 내보내 이 같은 진단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산둥(山東) 랴오닝(遼寧) 쓰촨(四川) 성 일원의 김치업체들은 위기감에서 나온 무모한 도발이 두 나라 김치 수출기업 모두에 치명타를 입혔다며 분통을 터뜨린다. 칭다오의 합작 김치업체 사장은 "한국정부를 상대로 소송이라도 내고 싶은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중국 내 통상전문가들은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경우, 단순한 식품안전 차원이 아닌 산업과 통상적 차원에서 다뤄야 한다는 권고를 내놓고 있다. 업계와 질검총국, 상무부가 힘을 합쳐 김치위생, 제조기술, 무역 분야 등에서 입체적 대응전략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다.

중국 당국은 차제에 생산 및 품질관리와 검역기준을 대폭 강화하는 한편, 한국과 일본에 편중된 김치 수출시장을 다변화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시장집중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중국의 김치 내수시장을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세계시장에서 중국산 김치의 명성을 일궈내고 심지어 김치를 `민족산업화`하자는 얘기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실제로 제품 안전기준 마련과 함께 표준화 제정 등을 추진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이는 모두 우리의 김치 종주국 지위를 불안케 하는 것들이며 또 다른 유형의 `김치전쟁`을 촉발할 수 있는 사안들이다.

소리없이 발빠른 중국의 `김치 전략`을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 우리 정부가 국민과 기업만 골탕먹이는 식품행정을 내버려 둔 채 임시방편적 수출대책을 마련하는 시늉이나 떨다가는 향후 전개될 김치전쟁에서 어떤 화를 당할지는 안 봐도 뻔한 일일 것이다.

(k@heraldm.com)

- '대중경제문화지'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